
자기초점적 주의와 우울 간의 관계 -심리적 수용 및 반추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Focused Attention and Depression: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Rumination
- 조민희(Cho, Min-Hee) 홍혜영(Hong, Hye-Young)
- 한국통합치료학회
- 통합치료연구
- 제8권 제2호
- 2017.02
- 35 - 60 (26 pages)
본 연구는 자기초점적 주의를 자기몰입과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성향으로 구분하고, 각각 우울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과 반추가 매개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서울, 경기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5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SDSAS), Bond의 심리적 수용검사 척도(AAQ), 한국판 반추적 반응양식 척도(K-RRS), 한국판 Beck 우울 질문지(BDI)를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등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몰입,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성향, 심리적 수용, 반추, 우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몰입은 반추 및 우울과 정적 상관을, 심리적 수용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성향은 반추와 부적 상관을, 심리적 수용과는 정적 상관을, 우울과는 유의미하지 않은상관을 나타냈다. 반추는 심리적 수용과 부적 상관을, 우울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심리적 수용은 우울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자기몰입,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성향, 심리적 수용, 반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몰입과 반추는 정적 영향을, 심리적 수용은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성향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셋째, 자기몰입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 및 반추의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자기몰입이 심리적 수용과 반추를 거쳐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이 검증되었다. 넷째,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성향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 및 반추의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성향이 심리적 수용과 반추를 거쳐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이 검증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study was self-focused attention divided into self-absorption and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confirmed mediated effects of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rumin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self-focused attention and depression. For data analysis, the use of correlational analysis, refress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SEM), and model verification.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was sugges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absorption, rumination and depression,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absorption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There was partial correlation betwee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rumination.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depression. Second, analysing mediating effects of self-absorption,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rumination to depression. Self-absorption and rumination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to depressio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was not significant effects to depression. Third, data analysing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 between self-absorption and depression partly mediated to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rumination. Fourth, data analysing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 betwee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depression mediated to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rumination.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y are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