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752.jpg
학술대회자료

보건소직원의 감정노동과 조직신뢰, 조직몰입의 관계

Effects of the Emotional Labor of Public Health Staff on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45 Public Health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 156

연구의 목적은 공공부문의 감정노동자인 보건소에 근무하는 보건의료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감 정노동의 표면행위와 내면행위가 조직신뢰와 조직몰입에 밀접한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표본 추출은 경기도에 위치한 45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본의 수는 675부를 배포하여 324부를 사용하였으며,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각 경로별 인과관계와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IBM SPSS & AMOS 22.0 Ver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보건소에 근무하는 직원의 감정노동이 조직신뢰에 유의한 영향이 있으며, 조직신뢰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이 미치고, 감정노동 행위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이 있음이 증명되었다. [연구결과]는 감정노동에 있어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는 선행연구가 많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보건소직원의 감정노동이 조직신뢰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들 역시 감정노동을 하고 있다. 단순한 연구일수도 있겠으나 타 기관에 비해 보건소에 근무하는 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시켜 준 결과를 제시하는 데 있어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제언으로는 본 연구에서도 조직과 직무와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듯이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감정노동의 결과변수로 태도와 행동에 초점을 두고 있다. 결과변수에 대한 다양하게 제시하고, 특히, 보건소 공무원의 인적자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for public official in public health centers. The analysis method was sampled from 45 public health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The sample was distributed with 675 copies, and 324 copies were us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statistical program SPSS & AMOS 22.0, primary factor and correlation has been analyzed. Validity of each variables’has been verified through primary factor and correlation analysis.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emotional lab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organizational trus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motional lab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emotional labor has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though there are many prior studies that have nega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emotional labor. Public officials working in public institutions are also doing emotional labor. It is possible to find a meaningful result in confirming that the emotional labor of the public servants working at the public health center has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section,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focus on attitudes and behaviors as the outcome variables of emotional lab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 hope that the research on the human resources of public servants in public health centers will be actively conduct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및 연구가설

Ⅳ. 실증분석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