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775.jpg
KCI등재 학술저널

제주 기생 김만덕에 대한 심노숭의 또 다른 시선

Sim No-sung s Another Point of View about Jeju Kisaeng Kim Man-deok

  • 221

논고는 제주 기생 김만덕의 이야기 「만덕전」(萬德傳)의 문학화 과정이 개별 작가마다 태동하게 된 원인에 주목하고 그 시각차의 형성 연원을 당대 역사적 흐름 속에 재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하면, 그간에 ‘제주의 기민을 구휼한 의로운 거상(巨商)’으로 추앙받아 온 기생 김만덕의 문학적 기술 구현 방식을 토대로, 이와 관련한 당대 사대부의 제문제 인식이 단일하거나 정태적이지 않다는 점을 고찰 하고자 한다. 특히 현존하는 기록 문헌 중, 유일하게 김만덕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제시한 심노숭의 인물전을 토대로, 기생과 치부(致富) 행위를 바라보는 남성 사대부의 시선을 당대 사회·정치적 제반 요건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 하여 그간의 화석화된 김만덕의 이야기를 새롭게 보는 심노숭의 시선은, 제주라는 특수한 공간을 배경으로 여성ㆍ기생ㆍ치부를 타자화한 노론계 사대부의 이데올로 기와 그 의식의 소산을 여과 없이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ay attention to the cause of the literaturization process of Mandukjeon, the story of Jeju kisang Kim Man-duk, and to reconstruct the formation of the difference in the historical flow of his time. In other words, based on the literary technique realization method of Kim Man-deok who has been regarded as the “a righteous merchant who helped the poor people of Jeju” in the meantime, I want to. In particular, I look at the socioeconomic requirements of the noblemen who look at the act of Kisaeng, based on the personality of Sim No-sung who presented the negative view of Kim Man-deok uniquely among the existing recorded documents. Thus, Sim No-Sung s view on the fossilized Kim Man-deok s story will provide the ideology and dissipation of the ritual of the Noron’s ability, who has otherized women, Kisaeng, and earning the money in the special space of Jeju.

Ⅰ. 서론

Ⅱ. 만덕이야기의 입전 배경과 동기

Ⅲ. 심노숭이 만덕을 부정하는 몇 가지 이유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