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781.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제강점기 유행가에서 사용된 리듬의 특징 분석

The analysis on rhythm characteristics of yu-haeng-g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107

이 글은 일제강점기 유행가 장르로 발매된 332곡의 리듬에 대해 분석했다. 일제강점기 유행가 장르의 리듬은 2박 트로트 리듬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춤곡 리듬과 한국 전통장단이 서양 춤곡 리듬과 혼합된 형태들이 사용됐다. 2박 트로트 리듬은 주로 트로트 양식 음악에서 사용됐고 한국 전통장단과 춤 리듬의 혼합형태는 신민요 양식에서 주로 사용됐다. 춤 리듬의 경우 춤곡 양식 음악들에서 주로 사용됐으며 일제강점기 당시 이들 음악은 주로 ‘재즈송’이라는 장르명으로 발매되기도 했다. 당시 사용된 춤곡 리듬들은 군악대의 주요 레퍼토리였던 왈츠, 빠른 2박 폴카 성향의 리듬과 함께 미국 재즈의 영향을 받은 시카고스타일 리듬, 라틴 계열의 탱고, 플라멩코, 룸바 등이 있다. 이러한 춤곡 리듬들의 사용 양상을 통해 1930년대 당시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 인기를 끌던 서구의 춤 리듬이 일제강점기 일본을 통해 한국으로 유입된 과정을볼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d the rhythm of 332 songs released as genre of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rhythm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hythm of dancing rhythm and Korean traditional rhythm were mixed with rhythms of Western dance while 2-beat trot rhythm was main. The 2-beat trot rhythm was mainly used in trotting style music, and the mixtur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dance rhythm was mainly used in the sin-min-yo style. In the case of dance rhythm, it was mainly used in dancing style musi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se music was mainly released as a jazz-song. The dancing rhythms used at that time include waltz, which was a major repertory of the military band, fast rhythm of 2-beat polka, rhythm of Chicago style influenced by American jazz, world music tango, flamenco and roomba. Through the usage patterns of these dance rhythms, it can be seen that the rhythm of Western dance which was popular throughout the world during the 1930s was introduced to Korea through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 서론

2. 일제강점기 한국 대중음악에서 사용된 리듬의 종류

2.1. 트로트 양식에서 주로 사용된 2박 트로트 리듬

2.2. 빠른 2박

2.3. 춤곡 양식에서 주로 사용된 춤 리듬

2.4. 전통장단혼합 리듬

3.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