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790.jpg
KCI등재 학술저널

변화하는 대중음악 교육 환경에 있어 한국 재즈학의 위치와 의미론에 관한 성찰

A Reflective Essay upon the Location and Semantics of Korean Jazz studies in the Challenging Context of Popular Music Education

DOI : 10.36775/kjpm.2018.22.167
  • 312

본고에서는 오늘날 한국의 음악교육 환경의 교과서, 교과과정, 범교과에 있어 점진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대중음악에 관한 총체적 연구가 개진되기에 앞서, 재즈학(Jazz Studies)이란 용어의 개념적, 맥락적 쟁점들을 선결문제로서 성찰해보고, 이를 교육과 문화 전달이라는 일반론적 테제들과 연관지어 다루어야 할 지점이라는 것을 우리 음악 사회에 설득하고자 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벌어지는 재즈학과 관련된 이론적 개념과 쟁점들을, 2장 한국 재즈의 역사와 기원, 3장 위치와 정체성, 4장 즉흥연주 관습이라는 사회문화적 쟁점을 각론으로 구성하여 음악교육학적 연구질문들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오늘날 한국의 음악교육 환경에 있어 재즈학, 광의에 있어 대중음악을, 기존의 소위 서양 고전 낭만음악 위주의 커리큘럼에서 비교적 등한시되던 즉흥연주, 디아스포라, 문화접변, 그리고 대중음악, 아프리칸아메 리칸음악 등 다양한 타자의 음악문화라는 함의를 포용할 수 있는 적실성 있는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and reflect the conceptual, contextual issues of Korean Jazz studies as a prerequisite questions before holistic researches on popular music in general which is facing a radical rapid and super competitive challenges recently. Reaching the moment to persuade korean society to build general theory structures surrounding these issues, the contents are dealing with the theoretical concepts and issues on the 2nd chapter: The epoch and history of Korean Jazz, The 3rd chapter: Location and Identity of Korean Jazz, The 4th chapter: Improvisation customs in contemporary korean music society. And this article also is recommending to revaluate the characteristic agents of Jazz and popular music(diaspora, acculturation, improvisation, music as a multicultural expression) -which used to be defined as counter form of authentic western fine art music- as a promising cultural resources for future generation’s music education in general.

1. 논의를 시작하며

2. 변화하는 대중음악 교육 환경에서의 재즈학의 의미론

2.1. 한국 사회에서의 재즈 교육

2.2. 한국 재즈의 역사학: 한반도 재즈의 시원

2.3. 한반도 재즈의 모더니티

3. 한국 사회에서의 재즈뮤지션의 지위와 정체성

3.1. 문화의 유지와 변혁

3.2. 정격성의 재구성: 사회로부터의 승인

3.3. 정격성 개념의 재맥락화: 정통재즈의 의미론과 한국 재즈맨의 의미론

4. 즉흥연주 교육의 매개로서의 재즈학

4.1. 현대 한국 음악 사회에 현존하는 즉흥연주 문화

4.2. 현대 한국 음악교육에서의 즉흥연주 교육에 관한 제언

5. 논의를 마치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