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793.jpg
KCI등재 학술저널

숭양서원의 건축 속성 고고(考古)

An Investigation on the Architectural Attributes of Sungyangseowon Academy, focusing on the place where Sungyangseowon was built, the layout of buildings, the composition of outer space and buildings

  • 97

본 연구는 개성에 소재하는 숭양서원의 건축 속성을 서원이 세워진 장소와 주변환경, 건물 배치, 외부공간 구성과 건축물을 중심으로 고고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숭양서원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숭양서원은 고려 시대 개성의 거의 중앙에 위치한 자남산의 동남쪽 산자락에 위치하며, 정몽주가 살았던 집터에 새로 계획하여 건립한 서원이다. 숭양서원 영역의 앞부분에는 강학공간이, 그 뒷부분에는 제향공간이 자리를 잡았다. 이러한 배치는 남계서원 이후 정립된 조선시대 서원 배치의 전범을 따른 것이다. 숭양서원의 외문 밖에는 우리나라의 여타 서원에서는 보기 힘든 노둣돌이 2벌 있다. 출타하기 위해 말을 탈 때, 출타하여 일을 마치고 귀가하면서 말에서 내릴 때 각각 사용하였던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숭양서원 터가 정몽주의 옛 살림집이었음을 말해준다. 강학공간에 속하는 동재는 가운데에 대청이 있고 그 좌우에 유생들이 기거하며 공부하는 온돌방이 있지만, 서재는 내부공간 전체가 통칸으로 트여 있다. 강학공간과 제향공간 사이의 경사지에는 서로 병행하는 세벌의 계단을 설치하여 각 계단마다 사우와 통하는 신문을 내어 세 신문을 모두 합하여 삼문이 되는 형식을 하였다. 제향공간에는 숭양서원이 1871년 서원철폐령 때 훼철되지 않은 내력, 정몽주의 행적, 사우에 배향된 인물들 등을 알 수 있는 「숭양서원기실비」와 「유명고려문하시중시문충포은정선생서원비」가 있다. 제향공간의 중심인 사우는 우리나라 여타 서원에서 볼 수 없는 내부공간 구성을 하였다. 사우의 가장 서쪽 한 칸은 정몽주의 화상을 모신 영당이고, 영당의 오른쪽 세 칸은 사우에 배향한 인물들의 신위를 모신 정실(신실)이다. 사우의 양 측벽은 사우 양 측면의 나무 기둥에서 더 밖으로 각각 약 70cm되는 공간을 띄운 다음 벽돌로 화방벽처럼 쌓았고, 그 위에 기와로 눈썹지붕을 얹었다. 눈썹지붕 상부에 해당하는 박공면도 눈썹지붕 아래의 벽면보다 벽돌을 약간 안으로 들여쌓았다. 우리나라의 여타 서원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측벽 처리 방식이다. 20세기 어느 시점에 숭양서원의 외문과 강학공간의 남쪽을 구성하는 담장, 재사의 측벽이 바뀌었다. 외문은 원래 1칸 건물이었으나 3칸으로 바뀌었고, 외문과 강학공간 사이에는 담이, 담 중앙에는 외문에서 강학공간으로 출입하는 문이 있었지만, 이 담과 문이 철거되었다. 이 시기에 동재와 서재 남측 측면 벽에 있던 풍판도 제거되었다. 현 숭양서원에는 서원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고직사, 전사청, 장판각 등이 확인되지 않는다. 옛 배치도와 사진에는 고직사로 볼 수 있는 건물이 있으나, 현 숭양서원에는 없다. 조선시대의 서원 건축에는 서원을 구성하는 건물들의 당호, 기문, 제영 등이 있어서 성리학자들이 지향하는 목표와 사상을 더 강화시켜준다. 현재 파악되는 숭양서원의 당호는 문충당 뿐이며, 외문, 강당, 동재, 서재, 신문 등 여타 건물들의 당호는 알 수 없다. 옛 사진을 보면, 숭양서원 강당에는 기문들이 걸려있는데, 현재 강당 건물에는 보이지 않는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building properties of Sungyangseowon Neo-Confucian Academy in Gaesong, North Korea,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Seowon, the layout of buildings, the composition of the outer space and buildings. Through this study, several architectural attributes of Sungyangseowon has found as follows: Sungyangseowon i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slope of Mount Janam, located in the center of old Gaesong, and is a newly planned and constructed seowon at the house site where Jeong Mong-ju lived. Inside Sungyangseowon, there are a lecture area in front and a veneration area in the back, the innermost area of the Seowon. This type of layout followed the Seowon’s layout standard in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established after Namgaeseowon’s layout. Outside the outer gate of Sungyangseowon, there are two sets of horse block, one for mounting to go out and the other one for dismounting the horse upon arriving at home after work, which are not seen in other seowons in Korea. This indicates that the site of Sungyangseowon was the former home of Jeong Mong-ju. East dormitory, a part of lecture area, has an open wood-floored hall (daecheong maru) in the middle and also there are ondol rooms with under-heating system on the left and right side where the students lived and studied, but inside of west dormitory is one whole space. On the slope between the lecture area and the veneration area, three sets of stairs were set up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each stair was presented with an inner gate (sinmun). In the veneration area, two commemoration stone steles are kept. Using them, why Sungyangseowon was not destroyed by Heungseondaewon-gun, the king s father, in 1871, Jeong Mongju’s deeds, and who are venerated in the shrine can be learned. The shrine, the center of the veneration area, shows floor plan composition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seowons in Korea. To the most west of the shrine is a room (youngdang) where the portrait of Jeong Mongju is enshrined, while the room of three kans to the right of youngdang is a shrine (sinsil), where five spiritual tablets of the venerated figures are enshrined. The walls on both sides of the shrine in Sungyangseowon were set apart from the side wall and then stacked with bricks, and on top of them were roofed with roof-tiles (giwa). and the upper part of the eyebrow roof is also brick-stacked. This is an unusual unique way of building side walls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seowons of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outer gate of Sungyangseowon, the wall that forms south side of the lecture area, and the side walls of the east and west dormitories changed. The outer gate was originally a one-kan building, but it was changed to three-kans. There was a wall between the outer gate and the south side of lecture area, and there was a gate from the outer gate to the lecture area in the middle of the wall, but both of them were demolished in the early 20th century. During this time, side walls of the east and west dormitories were also changed. At the current Sungyangseowon, caretakers’ house, veneration preparatory chamber, and storage room for utensils and vessels used for rites, library and repository of woodblocks which are needed to run a seowon cannot be identified. In the old layout of architectural drawings and photographs, there is a building that can be seen as a caretaker s house, but now it does not exist in Sungyangseowon. In Seowon architec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 are plaques of building name, documents and poems of the buildings that make up the seowon, which further strengthen the goals and ideas that the Neo-Confucian scholars are aiming for. The only building name that can be identified in Sungyangseowon is ‘Munchungdang’ (Munchung Shrine), but the names of other buildings, including main gate, lecture hall, east dormitory, west dormitory and inner gate are unknown.

국문초록

1. 머리말

2. 건축 속성 고고

3.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