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793.jpg
KCI등재 학술저널

정몽주의 불교에 대한 인식과 태도 재검토

Jeong Mongju’s Nonintervention Anti-Buddhism

  • 217

고려말 성리학자들의 불교인식에 대한 이해에서 정몽주의 입장은 우호적 입장과 배척적 입장 사이의 중간적 입장으로 이해되어 왔다. 불교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엄격하게 견지하면서도 현실의 불교계를 직접적으로 배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성리학적 원칙에 입각하여 불교를 엄격하게 비판하는 모습은 불교의 영향력을 최대한 억압하려 하였던 억불파(배불파)와 통하는 반면 현실의 불교계에 대하여 그 존재를 부정하는 태도를 취하지 않는 모습은 불교의 유용한 부분을 활용하려 한 호불파(친불파)와 상통하는 모습이었다. 이러한 애매한 그의 모습은 불교를 비판하면서도 실제적 억압에는 소극적이라고 이해되어 ‘온건한 배불론자’로 간주되어 왔다. 하지만 그의 태도는 결코 억불론(배불론)과 호불론(친불론)의 중간에 있는 절충적인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성리학적 사회의 실현에 있어 그 상대편에 있는 불교의 존재를 중요하게 상정하고 그 극복에 중점을 둔 다수의 성리학자들과는 달리 성리학 자체의 우월성과 합리성에 기반 한 자신감의 발로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정몽주의 불교인식과 태도는 기존의 억불론이나 호불론과는 구분되는 불간섭주의 배불론으로서, 고려말 성리학자들의 불교에 대한 태도 중에서 특별한 성격으로 새롭게 평가될 필요가 있다.

Jeong Mongju has been thought to be a moderate anti-Buddhist. His attitude toward Buddhism has been regarded to be the middle between the pro-Buddhist who advocated the role of Buddhism to the society and the anti-Buddhist who tried to exclude Buddhism from the society. In fact he was a faithful anti-Buddhist in that he kept the critical attitude toward Buddhism as a faithful Neo-confucianist, while he was similar to the pro-Buddhist it that he seldom denied Buddhism itself nor pay any direct attack to the Buddhists. Because of his ambiguous attitude, he was often criticized to be a eclecticist who criticized the Buddhism but was passive in oppressing it, or a opportunist who hesitated practicing his thought considering the ruler’s interest. But his attitude was never eclectic or opportunistic, nor he was a moderate anti-Buddhist. His attitude came from the confidence in the Neo-confucianism. He believed the superiority and the rationality of the Neo-confucianism and hardly concerned the Buddhism. In this respect he was much different from the other Neo-confucianists of the time. The Neo-confucianist of the time, anti-Buddhists or pro-Buddhists, cared much about the Buddhism and tried to overcome the Buddhist problems. His nonintervention anti-Buddhism was very special thought in the time and much attention should be paid to it. Under the thought the Buddhism as well as the Neo-confucianism might have developed much different during the Joseon dynasty.

국문초록

1. 머리말

2. 정몽주는 불교에 우호적이었는가?

3. 불교에 대한 기본적 입장과 태도: 비판하되 배척하지 않음

4. 고려말 성리학자들의 불교인식과의 차이점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