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794.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기철기-원삼국시대 구슬 해상교역과 환황해권 정치 경관의 변화

Bead Maritime Trade and Changes in Political Landscape from the Early Iron Age to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 478

이 글은 중국과의 교류 범위를 한반도 북부와 내륙으로 한정시키는 현재의 접근법이 환황해권의 사회상을 설명하는 데 한계를 가진다는 문제의식 하에, 동아시아 해상실크로드와 광역교류망의 출현이 한반도 남부 정치체 형성과 발전에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남중국해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던 해상실크로드에 대한 논의를 시작으로, 당시 동아시아 사회의 대표 교역품이었던 구슬을 검토하여 한반도 서남부지역 초기철기-원삼국시대 해상교역의 성격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해상교역의 출현이 서해안 일대 정치체들의 출현과 성장에는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해상 교역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나타나는 지역사회의 변화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한반도 서남부지역 해상교역망은 동아시아 해상실크로드의 연장선에 있고 원삼국시대 들어 새로이 발생하는 동-서 지역성은 환황해권 교역망의 운영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역항의 운영은 배후지의 출현, 내륙 재분배중심지 또는 도시교환중심지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사회 변화를 가져오게 되고 물류의 유통과 교역권을 통제하는 정치체의 출현을 야기하였다. 그 리고 재지사회는 동-서 지리·환경적 차이에서 오는 불균형한 사회기반에 상응하여, 내적 여건을 고려한 경제시스템을 발전시켜 나간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지역 간 상호의존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가져와 정치체들 간 협력·경쟁을 통해 공존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를 가능케 한 주 요인은 교류네트워크의 강화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the emergence of the East Asian maritime silk road and the wide-area exchange network played a role in the formation of politie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eginning with discussions on the maritime Silk Road that operated mainly in the South China Sea, I investigated the beads that were the representative trade products of East Asian society at that tim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itime trade. Based on this, I examined how the emergence of maritime trade played a role in the emergence and growth of the West Coast polities, and what changes were in the local community as the importance of maritime trade increased. As a result, the maritime trade network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s an extension of the maritime Silk Road in East Asia, and the new East-West regionality, which originated in the Three Kingdoms era, is closely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West Sea trade network. Therefore, the current approach to restricting exchanges with China to the north and inland of the Korean peninsula has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social aspects of the West Sea. The operation of trading ports has led to social changes leading to the emergence of hinterland, inland redistribution center or urban exchange center, and the emergence of polities that control the distribution and trade of imports. In addition, the local society would have developed an economic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internal conditions, corresponding with an unbalanced social infrastructure. Consequentially, the interdependence between regions would have increased, allowing them to coexist through cooperation and competition among polities, which is the strengthening of the exchange network.

Ⅰ. 서론

Ⅱ. 동아시아 해상실크로드에 대한 논의

Ⅲ. 초기철기-원삼국시대 구슬 해상교역

Ⅳ. 환황해권 해상교류와 정치 경관의 변화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