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산업에서 인기차트가 가지는 의미는 적지 않은데, 이는 수용자들은 인기차트를 음악 선택의 주요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의 인기차트, 특히 싱글차트의 경우는 라디오 방송 횟수가 굉장히 큰 비중을 차지 하고 있었다. 그러나 라디오에서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이 현저히 감소한 국내의 경우 ‘음원차트’라고 불리는 소수 대형 음원 사이트의 차트가 인기차트 형성에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 중 수용자들이 주목하는 음원차트는 바로 ‘실시간 차트’인데, 이는 스트리밍 서비스 중심으로 변화한 현 수용자들의 음악 소비 패턴을 잘 반영하고 있다. 더불어 차트의 ‘실시간성’에 주목하는 수용자들의 경향은 음악이 음악 자체가 아닌 넷상의 ‘실시간 화젯거리’로 소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음악의 생산과 소비가 디지털 싱글 방식으로 재편되 면서 음악은 ‘클릭’ 한 번으로 바로 읽고 넘겨버리는 인터넷 미디어의 어뷰징 기사들과 비슷한 방식으로 수용자들에게 향유되고 있는 것이다. 하나의 노래가 실시간 음원차트에서 반응을 얻는 것이 다양한 인터넷 게시판과 인터넷 미디어 기사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중계되고, 이는 하나의 화제가 되어 수용 자들의 클릭을 부르는 이슈 중 하나가 된다. 그 과정에서 음악은 스트리밍 서비스의 클릭 수치로 치환되며, 그 속에서 음악 자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희미해지고 있는 것이다.
Music char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usic industry. The audience usually use the charts as their reference when they choose which music they would listen to. In the past, radio airpla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 the single chart ranking. However, especially in Korea, radio lost its power on the charts because it does not play many songs as it did before. Instead of airplay, Korean audience are now using ‘real-time online music charts’ as their main reference. This tendency reflects the change that the audience enjoy music by using streaming services rather than physical recordings or file formats. Moreover, it shows that they consume hit songs not only as musical products but also as the ‘real-time hot issue’. As the music is produced and consumed via digital-single format, music has become another ‘one-click’ item such as the internet article for abusing - the audience click music just like the way they click the abusing article. For them, the ranking on the real-time chart becomes one of the real-time ‘breaking news’, which attract other users‘’ clicks. In this process, music is gone and only clicks are left.
1. 들어가며
2. 우리나라의 음악차트
2.1 ‘베스트셀러’ 찾아보기
2.2 라디오 방송 횟수에서 음원차트로
3. 음악차트의 ‘실시간성’
3.1. 실시간 차트와 5분 차트
3.2. ‘실시간 화젯거리’로서의 음악
3.3. 화제는 클릭을 낳고 클릭은 다시 화제를 낳고
4. 나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