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827.jpg
KCI등재 학술저널

인디 음악가의 젠트리피케이션 경험과 인식

Indie Musician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Gentrification

  • 162

본 연구에서는 젠트리피케이션 과정에서 벌어지는 갈등을 직접 경험한 인디 음악가들이 사건 전후로 어떠한 정체성과 인식의 변화를 겪는지를 중점적 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그들은 젠트리피케이션 초기 시점에는 급속한 공간과 환경의 변화를 위기로 인식하고 저항의 대상으로 규정하지만,시간의 흐름에 따라, 오히려 젠트리피케이션이 그들에게 예술 활동의 기회가될 수 있다고 재인식하는 변화를 포착할 수 있었다. 이는 역설적으로, 청년층 예술가들의 고용 불안 문제를 부각하며, 예술 노동의 특수성을 고려한 접근과, 더욱 다양한 예술 노동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은 개별 사례에 따라 복합적인 양상으로 나타난다는 한계를 고려하여, 특정한 젠트리피케이션 갈등 사례에 적극적으로 개입한 인디 음악가들을 중심으로 한정된 분석임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오히려 젠트리피케이션이 그들에게 예술 활동의 기회가될 수 있다고 재인식하는 변화를 포착할 수 있었다. 이는 역설적으로, 청년층 예술가들의 고용 불안 문제를 부각하며, 예술 노동의 특수성을 고려한 접근과, 더욱 다양한 예술 노동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은 개별 사례에 따라 복합적인 양상으로 나타난다는 한계를 고려하여, 특정한 젠트리피케이션 갈등 사례에 적극적으로 개입한 인디 음악가들을 중심으로 한정된 분석임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 in the identity and perception of independent musicians, or more commonly known as ‘indie’ musicians, who underwent conflicts taking place during the gentrification process. The analysis revealed that, at an infant stage of the gentrification, the indie musicians tended to perceive the rapid reshaping process of the surrounding space and environment to be a crisis, and in turn, choose to be resistant to the situation. Nevertheless, the study witnessed that an increasing number of the musicians had gradually begun to identify the gentrification as potential opportunities for their musical activities. This ironically highlights the issue of job unstability among musicians, which calls for an approach based upon the features unique to artistic labor as well as a wider array of research on the relevant field. Considering the limitation that each gentrification process may emerge in different forms, it is worth mentioning that this study is only focused on investigations into a particular group of indie musicians who were actively involved in the conflicts taking place during certain gentrification process.

1. 서론

2. 기존 연구 검토

2.1. 젠트리피케이션의 명암

2.2. 예술가와 젠트리피케이션

2.3. 청년 예술가들의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저항과 갈등

3. 연구 대상 및 방법

3.1. 연구 대상

3.2. 연구 방법

4. 젠트리피케이션 경험 예술가들의 인식 변화

4.1. 투쟁에 나선 인디 음악가들

4.2. 홍대 공간의 상징성과 젠트리피케이션

4.3. 프레카리아트 예술가로서, 인디 음악가

4.4. 젠트리피케이션 반대 투쟁에서 결성된 인디 음악가들의 사회운동 조직

4.5. 인디 음악가들의 투쟁, 5년 후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