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849.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럽문화수도 사례로 본 문화도시 지정사업의 방향성 고찰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ultural City Designation Project in the Case of European Capitals of Culture

DOI : 10.52564/JAMP.2019.52.135
  • 1,087

본 연구는 최근 문화정책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문화도시 지정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그 방향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러 측면으로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는 유럽 문화수도 프로그램의 배경 및 추진체계를 살펴봄으로써 보다 실질적이며 구체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문화도시 지정사업은 추진 배경 및 과정에서 한계를 드러낼 소지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상적인 문화도시 모델을 만들어 짧은 시간에 목표를 달성하려 하기보다는 지역의 자율적 결정에 따라 다양 성을 확보하고 부족한 인프라를 확충하려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사업의 지속성을 담보하기 위해 각 지자체의 독립 또는 직속기관 형태의 조직운영을 위한 전문인력의 확보와 교육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지역 간의 이해관계의 균형을 잡아주는 국가 차원의 세심한 정책적 배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도시 선정과정, 지원체계, 사후평가 등의 역할을 중장기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조직화된 정부 차원의 기구가 필요하다. 요컨대 성공적인 문화도시 사업수행을 위해서는 문화정책 차원에서 무조건적인 해외사례의 벤치마킹 보다는 비판적 수용과 함께 근원적인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more practical and concret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Cultural City Designation Project, which is emerging as a main topic of cultural policy. To this end, the background and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European Capitals of Culture(ECOC), which is the subject of benchmarking in various aspects, were examin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ultural City Designation Project can reveal its limitations in the background and process, and the improvement is as follows. First, rather than creating an ideal cultural city model to achieve its goals in a short period of time, efforts should be made to secure diversity and expand insufficient infrastructure in accordance with local autonomous decisions. Second, in order to secure the continuity of the business, it is necessary to secure and educate professional manpower for organizational operation in the form of independent or direct agency of each local government. Finally, careful policy consideration should be made at the national level to balance regional interest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organized ‘government-level organization’ that can take on the role of the city selection process, support system, and ex post evaluation. In short, successful cultural city projects require critical acceptance and efforts to remedy fundamental problems rather than benchmarking unconditional overseas cases in terms of cultural policy.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문화도시 지정사업과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의 방향성

IV.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