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된 계획 행동 이론을 이용한 제주도 방문객의 안전 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Behavior of Beach Visitors in Jeju Island by Using the Extended Planned Behavior Theory
- 사혜지(Sa, Hye-Ji) 강현욱(Kang, Hyun-Wook) 김민정(Kim, Min-Jeong)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 제10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19.05
- 13 - 19 (7 pages)
본 연구는 지난 3년 간 제주도 해역을 방문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안전행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설문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비확률 표집 방법 중 편의추출법을 사용하여, 서울, 경기지역에서 총230명의 자료를 수집 후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자료 처리에서는 SPSS 및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도와 인지된 행동 통제는 안전 행동의 의도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주관적인 규범과 해양 스포츠 안전 지식은 제주도 해변 이용자의 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주도의 해변 이용자의 안전 행동을 위해서는 해양기초 지식, 응급 처치 교육 등 안전 의식 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ose who have visited the marine area of Jeju Island in the last three years. Convenience sampling was conducted and 23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fter data cleaning. SPSS and AMOS software were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safety behavior. Second, subjective norms and marin sports safety knowledge were found to affect the safety behavior of beach users in Jeju Island. Therefore, safety awareness education such as basic knowledge of the ocean and first aid education will be necessary for the safety behavior of beach users in Jeju Island.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