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해변 관광객들의 우선적 고려 안전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Safety Factors of Priority Consideration for Beach Tourists

  • 19

본 연구는 해변 관광객들의 우선적 고려 안전요인의 구성에 대하여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해변 가 에서 안전을 책임지는 전문가(라이프가드) 3명, 해변을 이용하는 관광객 3명으로 총6명을 눈덩이 표집법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 하였다. 이후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내용 분석을 위해 1차적으로 코딩 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2차적으로 범주화 작업을 진행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진실성과 타당도 를 높이기 위해서 질적 연구 전문가 교수 1명과 박사 2명을 통한 동료 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안전요원의 부족 둘째, 안전교육 미흡 셋째, 안전교육의 의무화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재 안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안전에 대한 홍보, 교육의 의무화, 안전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지 않고서는 알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사람들을 구조 할 수 있는 안전요원의 부족은 큰 위험이 따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안전에 대한 교육은 학교에서부터 의무적 교육이 이루어 져야 하며, 안전하게 비치를 이용 할 수 있게 안전요원들의 배치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mposition of the safety factor that is considered as the priority of the beach touris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ree lifeguards and three beach tourists, they were recruited by snowball sampling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the data were firstly coded and systematically organized for content analysis, and secondary categorization work was conducted to derive the study results. In order to increase the veracity and validity of this study, we conducted a peer review through one qualitative research professor and two doctorat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ack of safety personnel, second, lack of safety education, and third, safety education. In conclusion, I feel that I need education about safety at present, but I can not find it without looking for information on safety, mandatory education and safety. Therefore, education on safety must be compulsory from the school, and it is very important to arrange security personnel so that they can use the beach safely.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