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트니스 참여자의 재미요인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Fun Factor of Fitness Program Participants on Leisure Satisfaction
- 김명준(Kim, Myung-Joon)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 제10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19.05
- 29 - 42 (14 pages)
이 연구는 피트니스 활동 참여자가 느끼는 재미요인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현대인들의 건강한 삶을 위해 피트니스의 저변을 늘리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러 종류의 피트니스 활동 참여자들에게 자기평가기입법을 이용 하여 작성하게 한 설문지 300부를 회수하여 총 289부를 SPSS 21.0 및 AMOS 20.0 프로그램으로 최종분석을 실시 하였다.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해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재미요인과 여가만족의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각각의 요인들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문항들 간 내적일관성을 확인하는 Cronbach’s ⍺ 계수를 산출하였다.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여 피트니스 참여자가 인 지하는 재미요인과 여가만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피트니스 참여자의 재미요인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피트니스 참여자의 참여만족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피트니스 참여자가 느끼는 여가만족은 재미요인 에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fun factors of fitness participants on leisure satisfaction and to increase the base of fitness for the healthy life of modern people. Total of 289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or participant of various fitness activities were utilized using SPSS 21.0 version for Window and AMOS 20.0 program for fin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un factors of fitness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the difference of leisure satisfaction of fitness participan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leisure satisfaction felt by fitness participant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un factors.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