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874.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류, 서양음악, 대중음악 & 가치관의 변화

The Impact of Korean Wave on the Social Status of Korean Popular Musicians

  • 343

한류로 인해 한국 대중음악인의 사회적 지위는 현저히 향상되었다고 할 만하다. 그러나 한국 내 서양음악인들의 존재는 점점 더 미흡해진 것처럼 보인다. 서양음악인의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적 투자와 음악인들에 대한 여러 가지 역사적·사회적 위치를 고려한다면, 최근의 이러한 변화는 상당히 놀라운 현상이다. 한류의 영향과 음악인의 사회적 지위 변화가 한국 사회의 근본적 가치관의 변화를 암시한다고 볼 수도 있다. 근현대 한국 역사에서 서양음악이 다른 음악에 비해 사회적으로 대접을 받게 된 것은 한국인들의 양반화 지향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본다. 드니스 레트(Denise Lett)는 한국인의 지위 추구가 현대 국가 건설 원동력의 근원이라고 분석했지만, 조선시대의 양반같은 사회적 지위를 최고의 목적으로 추구하는 시대는 이제 지난 듯하다. 한류가 한국 대중음악인의 사회적 지위에 끼친 영향을 고찰해보면서, 이러한 현상이 한국 사회 지반의 유동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The Korean Wave refers to the surge in popularity of South Korean culture around the world since the 21st century. Due to the Korean Wave, the status of Korean ‘popular’ musicians has been elevated significantly while Western ‘art’ musicians have become increasingly marginalized. This change is quite surprising since a considerable amount of educational capital has been invested toward the systematic grooming of ‘art’ musicians, while ‘popular’ musicians have historically been treated with disrespect and sometimes contempt. The impact of the Korean Wave and the shifting status of musicians indicate that a fundamental change may be taking place in the South Korean value system. I believe that historical structural forces that assured the cultural supremacy of Western art music within Korea (which placed popular music at the bottom of the cultural hierarchy) were due to the Korean’s zeal to be like the yangbans (the traditional ruling class) of the former era. Although Denise Lett identified the Korean’s pursuit of status to be like the yangbans as one of the major forces that shaped the modern South Korean society, the era when status was perceived as the ultimate goal may finally be over. By examining the impact of the Korean Wave on the status of musicians, my paper intends to demonstrate that this phenomenon may metaphorically serve as a wedge driven into the crack created by the shift of the old and the new cultural and social tectonic plates of South Korea.

1. 들어가는 말

2. 한류와 대중음악인의 사회적 지위 향상

3. 한국에서의 서양음악

4. 유교, 사회적 지위, 그리고 가치관의 변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