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874.jpg
KCI등재 학술저널

“So cool, so hot” 1990년대로의 전환기 한국대중음악에 대한 매체문화사적 고찰

“So Cool, So Hot” A media-cultural study on popular music of Korea in transition from 1980s to 1990s

  • 450

축음기에서 라디오, 워크맨, 테이프, 텔레비전, 컴퓨터, 인터넷, MP3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매체의 도입은 대중음악의 발전과 급속한 전파력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대중음악의 생산과 전유는 매체기술을 통한 ‘복제가능성/재생산가능성’을 전제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지점은 이러한 기술적 발전의 음악적 수용이 단지 새로운 음악생산/재생산 방식의 도입이라는 차원에 머무르지 않았다는 점이다. 여타의 음악장르와 달리, 대중음악은 이들 새로운 생산방식을 적극적으로 내재화했으며, 이를 항상 음악적으로 ‘매체/감각’화했다. 달리 표현하면, 대중음악은 미디어적 영향력을 근간으로 새로운 음악적 재료 및 음악하기 방식을 만들어냈으며, 새롭고 광범위한 차원의 대중음악적 문화형성체를 끊임없이 구성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이를 전유하는 새로운 감각방식을 형성해냈다. 이러한 대중음악의 매체적 특성(Mediality)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한국대중음악, 특히 1980년대에서 1990년대로의 전환기에 주목해 두 시기 간의 변화과정을 매체문화사적으로 고찰한다.

From gramophone, radio, walkman, tape, television, computer, internet to MP3 the introduction of new media have played in the development and rapid dissemination of popular music a decisive roll. The possibility of reproduction based on the media technology is prerequisite for the production and appropriation of popular music. The most interesting site is that this musical adoption of technical development is not merely remained in the dimensions of introducing ‘a new (re) production system of popular music’, but popular music has internalized and medialized those new production systems. In other words, popular music has made a new musical material and musicing method, it constructed constantly a new cultural formation of pop-musicality, and above all it formed a new way of music perception. Based on that medial character of popular music, this paper focuses on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1980s to 1990s on the perspective of pop-musical mediality.

1. 쿨 미디어와 핫 미디어: 맥루언의 미디어 이론

2. 미디어와 대중음악: 대중음악의 매체성

3. ‘ So cool, So hot ’ : 1990년대로의 전환기

4. 결론

5.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