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873.jpg
KCI등재 학술저널

‘Little Chang, Big City’: 미국 인디 록의 아시아계 이산 공동체

“Little Chang, Big City”: Asian Diaspora in American Independent Rock

  • 30

미국 사회에서 세 번째로 큰 소수인종 집단이지만 짧은 이민 역사와 다양한 민족적 구성으로 인해 아시아계는 정치, 사회, 문화적 영역에서 자기 정체성과 목소리를 확보하는 데 상대적으로 뒤떨어진 편이다. 그러나 점증하는 글로벌 문화 경관과 더불어 이민 2세대 이후부터 나타나는 새로운 아시아계 이산 공동체의 가능성은 1990년대 중반부터 인디 록 음악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 논문에서는 민속지학적 접근법을 통해 세 명의 아시아계 음악인 박수영, 마이크 박, 제니 최의 활동을 추적하고, 그로부터 아시아계 인디 록의 문화적, 사회적 정체성과 지향을 분석한다. 아시아계 인디 록은 음악 스타일, 그리고 각각의 민족 언어 및 문화에 대한 태도 등에서 다양한 차이를 보이지만, 미국 내에서 음악인들 간의 연대활동을 추진하고 나아가 아시아 청중들과의 연계를 확보하려 노력하는 점에서 공통성을 띤다.

Asians constitute the third largest racial minority group in the USA next to the Latino and the black community. Due to their relatively short immigration history and ethno-linguistic variety, they are yet to find a collective voice and identity in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renas. With the advance of increasingly global cultural landscapes, however, the second and later generations of Asian immigrants have been showing signs of a newly emerging pan-Asian diaspora; Asian-American indie rock movement, which marked its beginning in 1995, is one of them. This paper is an ethnographic study on three key musicians in the Asian-American indie rock movement, Sooyoung Park, Mike Park, and Jenny Choi. From their music and social activism, I seek for the clues of cultural and social identity of the new Asian diaspora. Despite the diversity of musical styles and contrasting attitudes toward ethnic languages and cultures, Asian-American indie rock musicians find their common ground in building solidarity among themselves as well as in connecting with their ‘ethnic’ audiences in Asia.

1. 이방인의 시선

2. 글로벌 문화경관과 미국의 아시아계 이산 공동체

3. 아시아계 인디 록의 첫 번째 물결(First Wave)

3.1. 박수영과 한( 恨 )의 재해석

3.2. 마이크 박의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스카(ska)’

3.3. 제니 최, 한국 여성 수난사를 노래하다

4. 남아 있는 질문들: 음악적 정체성, 언어, 민족 문화유산

5. 아시아계 인디 록의 두 번째 물결(Second Wave)을 기다리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