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칙적인 운동이 여성노인의 WHR, VAS, 유연성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WHR, VAS, flexibility,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 최연아(Choi, Yeon-A) 이신영(Lee, Shin-Young) 김민정(Kim, Min-Jeong)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 제8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17.11
- 29 - 35 (7 pages)
본 연구는 규칙적인 운동이 여성노인의 복부비만률, 요통지수, 유연성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국선도를 활용한 프로그램에 12주(주2회, 90분)동안 참여한 60세 이상 여성노인 145명이 었다. 본 연구의 자료 처리는 SPSS(version 23)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 pearson s의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다. 첫째,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노인들의 시기 간 차이 분석결과 WHR, VAS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유연성과 삶의 질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둘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결과 WHR은 유연성(p<.001)과 부적상관관계, VAS는 유연성(p<.01), 삶의 질(p<.001)과 부적상관관계, 유연성은 삶의 질(p<.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대상자 삶의 질의 상대적 영향력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VAS(p<.001), 유연성(p<.05)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규칙적인 운동은 여성노인에 있어 비만, 요통, 체력,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WHR, VAS, flexibility,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The subjects were 145 elderly women over 60years old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using Kouksundo for 12weeks (twice a week, 90 minutes). In this study, pearson 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enter method)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version 23) statistical program.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α=. 05. First, the paired t-test results of the elderly women participating in the exercise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WHR and VAS(p<.001), and flexibility and quality of lif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01). Second, the correlation results showed that WHR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flexibility(p<.001), negative correlation with VAS with flexibility(p<.01), and quality of life(p<.001). Flexi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p<.01).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VAS(p<.001) and flexibility(p<.05)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quality of lif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gular exercise affects obesity, back pain, physical fitness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