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농구 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A Grounded Theoretical Analysis on Physical Self-effica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Basketball Sports Club
- 박성규(Park, Seong-Kyu)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 제7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16.11
- 11 - 25 (15 pages)
본 연구는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Y중학교 학교 농구 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경험의 이야기를 토대로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관해 심층적으로 밝히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스포츠클럽에 소속된 중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개방형 설문조사, 자기성찰 및 자기회상을 실시하였다. 중심현상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고 인과적 상황으로 학교 스포츠클럽에 참여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인과적 상황은 중요타자로부터의 지지와 학교 스포츠클럽 활성화라는 맥락적 상황이 함께 반영되었다. 중재적 조건으로 성공경험을 통해 참여를 지속하고자 하는 요인과 지도자에 대한 불신, 시합에서의 좌절경험, 환경의 제약 등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도 함께 나타났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기술향상을 위한 노력, 협조적인 지도자, 팀원들과의 소통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농구를 평생 스포츠로서 인식하게 되었으며, 스포츠클럽 활동 이외 활동에서도 긍정적인 전이현상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middle schoolers participating in the school baseball sports club, analyze their physical self-efficac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rounded theory. 12 middle schoolers belonging to the sports club were sampled for an in-depth interview, participatory observation,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self-reflection, and self-retrospection. The important phenomenon was subjects improved physical self-efficacy, and the casual condition was their participation in the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The casual condition seemed to reflect such contextual conditions as support from the important others and activated school sports clubs. The mediative conditions found were the factors affecting subjects continued participation promoted by their experience of success, distrust of the sports leader, experience of having been frustrated at the game, environmental constraints, and other factors impeding their participation in sports club activities. The action/reaction strategies applied to surmount such problems were efforts for improvement of technology, cooperative leader, and communication among team members. As a result, subjects came to perceive that baseball would be the means of their life-long sports activities, while a positive transition phenomenon appeared.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