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 단체의 생활체육 실태와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성남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alities & Future development of Sport for all in the Local Governments
- 정승원(Jeong, Seung Won)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 제7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16.11
- 45 - 54 (10 pages)
이 연구는 성남시의 생활체육이 활성화 되는데 도움 되는 방안을 찾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성남시청 체육 청소년 과에서 제작한 자료를 통하여 성남시민 체육활동과 생활체육동호인, 학생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체육활동 및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성남시의 생활체육 발전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시해 보았다. 첫째 성남시는 모든 시민의 체육시설 활용과 각 지역의 잠재 요인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프로그램과 홍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다양한 체육시설의 확충과 부지확보와 정비 및 관리가 필요하며, 체육시설을 확충하는 과정에서 일상생활권역시설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전문 공공체육시설의 필요성을 유발하여 상업용 생활체육시설과 공공생활체육시설의 비율을 높일 수 있는 계기마련이 될 것이다. 셋째 사회체육지도자의 양성과 현장배치와 지도자의 활동으로 체육활동의 조직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할 것이다. 넷째 대학 및 직장 경기 팀의 부재를 막아 지역에서 배출한 우수선수 확보로 체육인 육성과 체육활동의 발전으로 향하는 시발점이 될 것이다.
This research is mainly for supporting plans of activating public sport for all in Sung-nam city. Statistics of the Ministry of culture-sports, and are planning to support the city government based on the survey from local society, sport for all communities, and student groups. First, Sung-nam city should understand and make the best use of all the potential facility states along with continued publicizing. Second, on the process of further expansion of location sites and facilities, the living space of residents should restrictively be considered. Third, promoting and placing leaders of athletics in public w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activating local organizations. Finally, reinforcing valued sport players from local college teams and work place reserve communities, will be the starting for further development.
서론
연구결과
연구방법
성남시 생활체육 발전 방안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