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의 스포츠클럽 참여만족이 관여도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ports Club on Involvement and Peer Relation
- 성현수(Sung, Hyun-Soo) 이성희(Lee, Sung-Hee)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 제5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14.05
- 19 - 34 (16 pages)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포츠클럽 참여만족이 관여도와 교우관계에 어떠한 영향은 미치는지를 비교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이며,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고 있는 3개 중학교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각 학년 110명씩 총 330부를 추출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36부를 제외한 294부의 자료가 실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다음과 같다. 측정항목들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 다. 조사대상자의 참여배경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 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고,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변인간의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학생의 스포츠클럽 참여배경(성별, 학년, 종목)에 따른 관여도 전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교우관계 전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자의 참여만족(심리적, 생리적, 환경적)은 인지적 관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자의 참여만족(심리적, 교육적, 생리적, 환경적)만족 은 감정적 관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자의 참여만족(심리적, 교육적, 생리 적, 환경적)이 교우관계, 규칙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Using the theoretical evidence of advanced studies, this study s goal is in analyzing the effect of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ports club on involvement and peer rel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we set the subjects as 110 students from each grade from the three schools that had school sports club in Incheon, coming to a total of 330 students and analyzed a total of 294 students after excluding 36 undependable students. This study used SPSS Win ver. 18.0 to process data. Also,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list of measurements, we first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ubjects groups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background, we conducte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ut of all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discovered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involvement and peer relation between genders, grade levels, and the sports they played.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psychological, educational, physiological, environmental) that middle school students had through school sports club and involvement (emotional, cognitive) was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and cognitive involvement.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of school sports club had on the peer relation (peer relation, rule observance, school life) was that there was an overall significant effect.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