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의 무용 활동경험이 정서 발달 및 건강관련체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ancing Activity Experience on the Development of Emotion and Development of Health related Fitness in the Primary School Student
- 장혜지(Jang, Hye-Ji) 박태섭(Park, Tae-Seop) 김상유(Kim, Sang-Yoo)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 제4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13.05
- 9 - 17 (9 pages)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무용 활동경험이 정서발달과 건강관련체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무용을 통한 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는 문용린(1997)이 제작한 정서지능 검사지를 활용하였으며 건강관련체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학생건강체력평가의 측정자료를 수집하여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각 학년(4, 5, 6학년)간의 무용 활동경험 유무에 따른 정서 발달과 건강관련체력 발달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two way-anova)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첫째, 무용 활동경험 유무 및 학년에 따른 정서 발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서인식, 정서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 정서활용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정서지능 발달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년과 경험 유무의 상호작용 효과에 있어서도 정서인식, 정서조절, 정서지능 평균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 활동경험 유무 및 학년에 따른 건강관련체력 발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에 따른 건강 건강관련체력 점수와 등급은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건강관련체력평가 점수와 등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험 유무에 따른 건강관련체력 점수와 등급은 유연성,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건강관련체력평가 점수와 등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과 경험 유무에 따른 건강관련체력 점수와 등급 차이 검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s dance activity experience on the development of emotion and health-related fitness targeting. For the effects on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dance, th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by Moon Yong-rin(1997) was used and for the effects on health-related fitness,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PAPS) data was colle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velopment of health-related fitness and emotional development by the status of dance experience of each grader(4th, 5th, 6th), the collected data was treated as two wayanova.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emotion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tatus of dance activity experience and each grade, i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area of emotional perception, emotional expression, empathy, emotional regulation, and emotional use. In case of the interactive effect with the grade and status of dance experience, i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 of emotional perception, emotional regu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health-related fitness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tatus of dance activity experience and each grade, The health-related fitness score and rank by each grade.
서론
연구방법
결과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