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결혼이주여성의 여가제약 협상과정에 관한 근거 이론적 분석

Grounded Theory Analysis on the Process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among Foreign Korean Wives

  • 37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여가제약과 협상전략 과정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로 근거이론적인 접근을 통하여 도출한 개념의 범주화와 이론적인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인 결혼이주여성들이 지닌 여가의 인식과 제약, 극복 및 실제적인 참여들에 대해 총체적인 과정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현재 3개월 이상 여가활동 유경험자로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30~40대 결혼이주여성 9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은 각 2~3회의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하였고 이는, 현장노트 기록을 동시에 실시하여 연구 분석의 원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다양한 문헌과 자료수집, 그리고 전문가의 조언과 연구 참여자의 재확인을 받음으로써 타당도 및 신뢰도를 높였다. 연구의 기간은 2011년 9월 15일부터 2012년 5월 30일까지 이루어 졌다. 개방코딩을 통해 132개의 개념을 도출하였고, 상호 독립적인 27개의 하위범주와 10개의 상위범주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여가제약을 갖게 되는 조건과 심리적 태도 그리고 이에 대처하는 행동과정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고, 그들의 주관적인 경험에 대한 실제를 질적 연구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아직은 연구 초기단계이지만 결혼이주여성의 ‘여가제약 협상’과 관련하여 ‘협상전략’의 관점들이 여가참여 지속을 강화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closely the leisure constraints on foreign Korean wives, who are on the increase in Korean society, and also to study the process of their negotiation strate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in depth the overall process of foreign Korean wives awareness of leisure possibilities, the constraints they experience, how they cope with those constraints, and finally their actual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Nine foreign Korean wives of between 30 and 40 years of age were selected, who had all lived in Korea for more than five years, were able to speak Korean, and who had over 3 months experience of leisure. Th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15th, 2011 and May 30th, 2012. Through the open coding, 132 concepts were established, with 27 mutually independent sub-categories and 10 major categories being abstracted. The axial coding process grasp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wo categories through use of the paradigm mode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esents a comprehensive process of understanding of foreign Korean wives leisure constraints, and offers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for coping with the situation, based on the use of analyt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established around their actual subjective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brings into focus a discussion around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which is still at an early stage in Korea, as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negotiating strategy’.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