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널트레이너가 지각하는 직무만족과 몰입 그리고 조직 몰입간의 관계 분석
Relationship Analysis Among Personal Trainers Perceiving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천은구(Chun, Eun-Gu) 홍진배(Hong Jin-Bae)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 제2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11.08
- 43 - 56 (14 pages)
이 연구는 스포츠센터에서 퍼스널트레이닝 프로그램의 운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해 퍼스널트레이너의 직무만족과 몰입 그리고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지역에 위치한 스포츠센터와 휘트니스클럽에서 근무 중인 퍼스널트레이너 185명이었다. 자료처리는 SPSSWIN 18.0 과 AMOS 18.0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다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퍼스널트레이너의 직무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소들로 직무열의, 근무환경, 동료, 보수, 그리고 보람 및 긍지가 확인되었다. 둘째, 퍼스널트레이너의 직무만족은 직무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퍼스널트레이너의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퍼스널트레이너의 직무몰입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 trainers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 as to improve operational effects of personal training programs in sport centers. Study participants were 185 people who have been working as personal trainers in sport centers or fitness clubs located on Seoul metropolitan area by means of convenient sampling. SPSS WIN 18.0 and AMOS 18.0 were used for frequency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s 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conclusion were as follows. First, passion for work, work environment, reward system, colleagues, and pride were confirmed as sub-factors consisting of personal trainers job satisfaction. Second, job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ed job commitment. Third, job commitment positively affe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job satisfaction did not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Reflecting these facts, sport centers should consider how to effectively increase each individual satisfactory factors to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and objectives in operating personal training programs.
서론
연구방법
결과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