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여가 향유의 사각지대: 다문화 가정 자녀의 여가 참여 제약과 해결 방안

Blind spot of leisure participation: Leisure barrier and solution for the children of multi cultural families in Korean society

  • 37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에 증가하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여가 제약은 무엇이며, 그 제약을 감소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여가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그들을 위한여가 인프라를 구축을 본 연구에서는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여가권을 확보해 줄 수 있는 ‘다문화 가정을 위한 여가진흥법’(가칭)을 제안하였다. 이 법을 기반으로 해서 그들을 위한 여가 공간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인 통합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생활만족도 향상에도 일익을 담당할 수 있다.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여가 참여에서 차별과 소외 없이 자랄 수 있는 여가 시스템의 구축은 총체적인 한국 사회 발전과 깊게 연관을 갖는다.

This purpose of study was to explore the components and solutions of leisure constraints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erms of leisure policy. This suggested building leisure infra in Korean society by solving matters of their leisure constraints. This study proposed what is called, Leisure promotion law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required for the children in detail. Based on this law, leisure space will be reconstructed. The law will play a great role in increasing social integration and strengthen life satisfaction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new leisure system by applying leisure law will contribute on significant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서론

1. 들어가는 말

2. 다문화 가정 자녀 여가 참여 제약

3. 다문화 가정 자녀의 여가 제약 해결 방안

4.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여가정책의 효과

5. 나가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