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Review of optimal duration and plateau in VO2max

  • 6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은 운동 중 사용하는 산소 소비의 최대 율을 말하며, 이것은 운동생리학 실험실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측정되어지는 매개변수 중 하나이다. Hill 그리고 Lupton(1923)에 의해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의 개념이 발전된 이래로 운동 강도에 있어 더욱 증가된 VO2에서의 고원현상은 최대운동 테스트에 도달됨을 나타내는 기준으로서 이용되어 졌다. 그러나 최대산소섭취량(VO2max)에서의 고원현상은 최대산소섭취량(VO2max)보다 증가된 운동을 수행하는 사람들에게서 항상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82년을 넘게 존재해온 고원현상 정의에 대한 적당한 기준은 없다. 또한 VO2max 테스트를 시행하기 위해 권장되는 최근운동 프로토콜은 8-12분 동안 실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프로토콜의 시간 관련 최초 연구를 보면 다섯 명의 피험자에게서만 단지 얻어졌다.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은 운동 프로토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짧은 동안(6분미만)의 달리기 프로토콜의 사용은 운동으로 단련되지않은 건강한 남성과 여성에게 있어 VO2max 평가의 방법으로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짧은 시간(8분미만)의 VO2max 프로토콜들은 강도 높게 단련된 개인들에게 적절하게 선호될 수 있다.

Maximal oxygen consumption (VO2max) is the maximal rate of oxygen consumption during exercise and is one of the most commonly measured parameters in exercise physiology laboratories. Since Hill and Lupton (1923) developed the concept of VO2max, a plateau in VO2 with further increases in exercise intensity has been utilized as a criterion to indicate a maximal test has been achieved. However, a plateau in VO2max is not always attained in subjects who perform incremental exercise to VO2max. In addition to, no suitable criteria for defining plateau have existed for over 82 years. In addition, the current recommendations for administering a test to VO2max are to have an exercise protocol that does this in a time period of 8-12 min. However, original research of this protocol duration were only obtained in a subset of five subjects. VO2max was not affected by exercise protocol and the use of a running protocol of short duration (less than 6 min) could be a viable way of assessing VO2max in the healthy untrained men and women. However, shorter duration VO2max protocols (less than 8 min) may be preferable for moderately to highly trained individuals.

What is VO2max?

Issue of optimal duration in VO2max

Controversy of the presence of a plateau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