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여가 일치성과 여가참여 빈도에 따른 가족관계의 차이 분석

Analysis on the differences of family relations by perceiving type and consensus of family leisure for married women

  • 12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여성들의 여가유형, 여가빈도, 여가의 일치성여부에 따라 가족관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서울시내의 사회복지관과 YMCA를 통해 2009년 5월부터 6월까지 편의표본추출을 이용하여 200부를 배포하여 이 중 총 154 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독립검증 t-검정, ANOVA test 이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기혼여성의 학력과 가족의 월수입에 따라 학력이 높고 경제적으로 높은 가족이 가족관계척도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의 여가유형에 따른 차이는 나지 않았으며, 여가참여 빈도에서 매달 한번이상 참여하는 것이 가족관계에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혼여성이 가족이 참여하는 여가활동과 일치할 경우 가족관계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가족의 여가활동에 있어 여가유형보다 가족이 참여하는 여가활동의 빈도와 여가의 선택과정에서의 일치성에 초점을 맞춰야한다는 사실이다. 이를 위하여 여가활동의 선택과정에서 가족 간의 의사소통이 필요하다는 점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family relations according to type, frequency and consensus of leisure among married women. A survey of 200 married women from social welfare center and YMCA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154 of them were used for this study. Results were suggested as three directions. First, family with high academic career and monthly income indicated high degree in the family relation scale. Second,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leisure type for family variables, bu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hesion and frequency which is participated in leisure over 1 time. Third, when married women s leisure activities are agreed with other family members, the score of family relations was indicated as high. This study found that the frequency and consensus of leisure activities with family members should be more focused rather than leisure type to build a sense of family relations. Communication among family membe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hoosing their leisure activities.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