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다문화사회통합을 위한 여가스포츠 정책 방향

Leisure Sports Policy Direction for Multicultural Society Integration

  • 15

다문화사회의 급속한 전개는 문화적 충돌, 사회적 충돌, 심리적 충돌, 소외, 차별 등과 같은 행동으로 표출되거나 사회적 문제를 일으켜 사회통합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다문화사회에 살고 있는 현재 사회통합의 한 방법으로 여가스포츠를 통한 장기적인 사회통합의 방향을 모색해야할 시기가 도래했다. 다문화사회의 갈등을 줄이고 사회통합을 위해 여가스포츠 정책의 시행이 시급하다. 이에 다문화사회에 적합한 여가스포츠 정책적 지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여가스포츠를 통한 다문화에 대한 개방성 및 관용성 제고이다. 둘째, 다문화관련 정책들이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지역의 대학이나 연구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제 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여가스포츠 다문화 교육이 실천되기 위해서는 교사 및 지도자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다양한 여가스포츠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Rapid process of multicultural society is either expressed with such behaviors as cultural conflict, social conflict, psychological conflict, isolation, and discrimination or able to be obstacle for social integration by provoking social problems. It has been the time to seek the direction of long-term social integration through leisure sports as one way of social integration over multicultural society. To reduce the conflict due to multicultural society and create social integration, it is urgent to enforce leisure sports policy. This paper attempts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leisure sports political support appropriately with multicultural society. First, it is both openness and tolerance improvement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leisure sports. Second, multicultural related policies should be accomplished under the cooperation between central part, local autonomy community, and university or research institutions.Third, teach and instructor education ought to be accomplished to practice leisure sports multicultural education. Fourth, political support is requir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f various leisure sports.

서론

다문화현상과 다문화사회통합

사회통합을 위한 여가스포츠정책적 지원 방향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