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866.jpg
KCI등재 학술저널

7080 캠퍼스 밴드가 한국 록 음악에 미친 영향

The Impacts of 7080 Campus Bands on Korean Rock Music

  • 208

본 논문은 1960년대 중반에 등장하여 1970년대 초까지 만개하던 한국 록음악이 1975년 ‘대마초 파동’과 ‘가요정화운동’으로 그 가지가 꺾인 후, 록음악의 황무지가 된 대중음악계에 1970년대 후반에 등장하여 이 땅의 록 음악의 공백을 메웠고, 1980년대에 록의 르네상스가 열리는 데 큰 공헌을 한 7080 캠퍼스 밴드들에 대해 연구한 논문이다. 아마추어리즘으로 등장한 7080 캠퍼스 밴드들은 자신들만의 창작성과 신선함으로 록 음악의 명맥을 유지하였으며 이후 1980년대에 록 음악의 대중화의 길을 열었고, 25년이 지난 후에는 ‘7080 문화’라는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였다. 이에 7080 캠퍼스 밴드들이 한국 록 음악에 어떤 영향을 주었고 또 그들의 음악은 이전 세대의 록 밴드들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함으로써 한국록 음악의 변천사에 대해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다양한 대중음악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밴드 음악의 발전을 바라는 바이다.

The following is a theoretical analysis upon the impacts of the 7080 campus bands on the Korean rock music. Korean rock music has appeared in the mid-1960s, and reached its peak in the early 1970s. However, it has been disconnected by the marijuana scandal in 1975. The 7080 campus bands who appeared in the late 1970s revived Korean rock music and developed it with their own originality, popularized rock music. And they made cultural phenomenon called 7080 culture. The study on the achievement of 7080 campus bands may lead to development of various Korean music.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연구내용과 방법

2. 한국 록 음악 신(scene)에서의 캠퍼스 밴드의 역할

2.1. 1970년대 중반까지의 한국 록 음악 2.2. 대학가요제와 산울림

2.3. 주요 캠퍼스 밴드들의 앨범으로 본 그들의 음악적 특징

2.4. 록의 대중화를 이끈 캠퍼스 밴드의 결정체, 송골매

3.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