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867.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상성의 문화적 잠재력 연구

A Study of Cultural potential in Everydayness: Focused on the a singer-songwriter’s ‘street song’

  • 139

본 논문은 일상성의 의미화 과정을 통해 문화적 창조성의 잠재력과 그 가능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리의 일상은 사소하기도 하고 특별하기도 한 순간들을 경험하면서 다양한 사건이 일어날 바탕이 되는 중요한 위치를 가진다. 일상성은 지배체계가 간섭하지 못하는 잔여적인 영역의 저항성과 창조적 실천성이 결합된 일상생활의 무대에서 드러난다. 일상성이 의미화되는 과정은 일상을 다양하게 재해석, 재창조하는 적극적인 문화 생비자에 의해 일상적 소통 마당을 형성한다. 이를 밝히기 위해 일상적 삶을 무대로 한 예술 활동이 어떤 문화적 잠재력을 갖는지에 대해 싱어송라이터의 ‘길거리 노래’를 사례 연구로 살펴보았다. ‘길거리 노래’는 마이너리티 영역에서 주류 문화체계의 정형화된 의미를 통합, 변환, 재가공해 일상적인 ‘길거리’로 확장시켜 나간다. 일상을 무대로 한 거리예술은 소유할 수 없는 공간을 새롭게 전유함으로써 이동, 운동, 변화를 이끌어 내고, ‘일상 예술’이라는 자기영역을 확보한다. 이러한 새로운 문화체계는 일상의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일상의 예술양식은 일상성을 기반으로 한 내용적 측면과 현장성, 즉흥성, 유동성의 형식적 측면을 내포한다. 그리고, 일상 예술은 생산과 소비가 결합된 상호작용적이고 직접적인 소통방식의 새로운 문화체계를 독자적으로 형성한다. 일상 예술의 잠재력은 문화 공공성, 다양성, 개방성을 지향하는 일상성을 원동력으로 새로운 문화 마당을 부상시킨다. 이 가능성은 상업성, 획일성, 폐쇄성으로 정형화된 주류문화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고, 물신주의적 소비대중으로 전락한 현대인의 왜곡, 축소, 소외된 일상을 회복시켜 새롭게 거듭나는 삶의 비전을 제시한다.

This thesis aims to study of the potentiality and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reativity as the process of making meaning from everydayness. Everyday life occupies a prominent position in various events happened while experienced trivial and special moments. Everydayness is revealed on the stage of life which is combined the creative practicality with the resistance in residual areas independent from the mainstream system. The process of making meaning from everydayness creates the atmosphere of everyday communication by an active and cultural prosumer who recreates and reinterprets the various ways of everyday. This study examined a singer-songwriter’s ‘street song’ which has a certain cultural potentiality of art activities on the stage of everyday life. This street song in minority areas could be extended into everyday-street by integrating, converting and reprocessing meaning of t he standardized cultural mainstream system. A street art on the stage of everyday life derives the movement, the activity, and the change from having the space which could be possessed and secures its domain in the ‘everyday art’. This new cultural system is achieved in the area of everyday life. The everyday art pattern includes the aspect of content based on everydayness and structural aspect of reality, improvisation and liquidity. And, Independently the everyday art was formed the new cul-tural system with a directive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combined with the production and the consumption. The potentiality of everyday art emerges as new cultural place through driving force of the everydayness which pursues the public cultural service, the cultural diversity and the cultural openness. The possibilities with cultural potential of everydayness overcame structural limitations on the mainstream culture’s which is stereotypical with a commercial viability, uniformity and closeness. And this also recovers modern people who degraded to fetishistic consumer and everyday modern life which has been distorted, curtailed and alienated. Therefore this presents a vision of a new life.

1. 머리말

2. 일상성의 개념

2.1. 잔여성과 저항성

2.2. 실천성과 창조성

3. 일상적 삶을 무대로 한 예술 활동

3.1. 일상의 문화 마당 형성

3.2. 일상의 예술양식

3.3. 새로운 문화체계의 가능성

4. 새로운 문화잠재력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