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한국 대학에 개설된 지 20여 년이 지난 실용음악과의 전반적인 흐름을 살펴보면서 보컬전공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 수년 동안 실용음악과 보컬전공은 대학 입학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고 있다. 실용음악과 보컬전공에 쏠리는 인기는 청소년들이 가장 선호하는 직업군으로 연예인을 꼽고 있는 현실을 확연하게 나타내는 지표이기도 하다. 그러나 정작 대학의 교육 여건이나 환경을 보면 실용음악과의 보컬전공 교육은 많은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실용음악 보컬 교육의 문제점을 정리해본다면 다음과 같다. 1. 보컬 트레이닝을 통하여 기능적으로는 발전할 수 있으나 반복 교육에 의해 획일적인 가창법을 갖게 됨으로 인한 몰개성 현상 2. 빠르게 변화하는 다양한 형태의 대중음악과 발맞추지 못하는 교육 시스템 3. 실용음악과의 인기에 편승하여 무리하게 많은 학생을 모집함으로 발생하는 열악한 교육환경 4. 많은 수험생을 짧은 시간에 판단해야 하면서도 공정성을 잃지 않아야 하는 입시제도 5. 실용음악과의 태생적 구조적 특성상 갖고 있는 편중된 장르 교육 이러한 복잡한 문제점들을 단번에 해결할 수는 없겠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부족하나마 여러 가지 해결방법들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exploring the general trend of applied music fields over last twenty years since it has first been offered as a degree program at several Colleges. We also want to both identify the challenges existed regarding education system and propose the ways to improve the condition of them. During last few years, the competition rate for entering the college in applied music major has been very high, which mirrors the reality that a large number of young generation is pursuing to be an entertainer. Meanwhile, when we realize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College education, the prospect is discouraging. Followings are the points at issue 1. Students should expect some technical improvement in vocal skills, but there is a risk of being trained to lose individual unique personality. 2. Curriculum from a lot of Colleges fails to meet the need of rapidly changing music industry and popular music trend. 3. Current College environment in many colleges reveals the inferior condition as they allow for more students than they can afford. 4. Issue of fairness in judging the majority of applicants within the confined time deadline. 5. Curriculum at some Colleges have been biased on specific Genre such as Jazz because of inherent and organizational reasons for the department of applied music. These complex problems can not be solved at once. Through this study, we will present various ways of solving.
1. 들어가는 글
2. 대학 실용음악 보컬 교육의 문제점
2.1. 향상되는 실력, 그러나 사라지는 개성
2.2. 교육 시스템의 문제
2.3. 입시제도의 문제
3. 발전적인 실용음악 보컬 교육을 위한 개선 방안
3.1. 실용음악과 내 전공 분리 혹은 실용음악학부제 도입(상위권 대학의 경우)
3.2. 보컬전공 학생의 정원 비율 조정(중하위권 대학의 경우)
3.3. 교육 여건 개선
3.4. 재즈 교육과 팝/가요 교육의 균형과 조화
3.5. 대학원에 보컬 전문 지도자 과정 개설
3.6. 입시제도의 개선
3.7. 다양한 기회 제공
4. 맺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