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음악교육이 한국 대학에서 시작된 지 20여 년이 지난 지금은 41개 전문대학과 30개 대학 등 70여 개의 대학에 실용음악계열 학과 (전공)가 개설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일반화되어가고 있는 용어인 실용음악의 의미를 찾아보고, 대학 실용음악학과의 시작과 그 변천과정, 그리고 학과 개설형태를 2 년제 대학과 4 년제 대학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실용음악을 교육하는 학과의 개설형태를 다음의 세 가지 패턴으로 구분하다. 1) 처음부터 실용음악학과로 개설되었거나 다른 명칭의 학과에서 실용음악계열 학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 기존의 음악과나 생활음악과의 내부전공으로 실용음악 전공이 개설되었다. 3) 내부전공에서 발전하여 실용음악과로 확대발전하였다.
Since “Applied Music” education began in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20 years ago, currently 41 colleges and 30 universities offer degrees in “Applied Music”. The scope of this study includes; the etymology and evolution of the term “Applied Music“, the history of college-level education of applied music, and the survey of the program structures in the present college/university system. In this study the academic structures of applied music programs in colleges are categorized into 3 types: 1. Departments specifically designed and designated as “Applied Music” from the inception, and those changed the title to “Applied Music” only later. 2. Programs began as a part of the existing music department and still operate as such fashion. 3. Departments began as the complementary programs (as in type 2, above) and eventually developed into the independent “Applied Music” departments of the present.
1. 들어가며
1.1. 실용음악(Gebrauchsmusik)
1.2. 실용음악(Applied Music)
2. 대학 실용음악교육의 시작
2.1. 2년제 대학 실용음악교육의 시작
2.2. 4년제 대학 실용음악교육의 시작과 발전
3. 대학 실용음악계열 학과의 개설 형태
3.1. 학과의 신설 또는 명칭 변경
3.2. 학과의 내부전공으로 실용음악전공 개설
3.3. 생활음악과 또는 음악과 내부전공에서 실용음악학과로 확대발전
4. 나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