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869.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제강점기 대중가요 여가수들의 가창법 비교 연구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different vocal styles of popular singe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Concentrating on female singers

  • 121

여가수들의 가창법 분석을 위한 기준으로 기존 서양 성악 위주의 호흡법, 발성법, 공명법 위주의 연구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이에 흔히들 말하는 감정 표현은 가창 기술과는 별개라는 구태의연한 논리를 넘어 음색(tone), 발음(pronunciation), 프레이즈(phrase), 바이브레이션(vibration), 벤딩(bending) 등의 다섯 가지 가창 기술을 선정, 적용하여 여가수들의 가창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는 대중의 많은 사랑을 받았던 열네 명의 여가수들의 노래를 대상으로 그들의 가창법 분석에 임했으며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결론을 얻었다. 첫 번째로 맑고 고운 꾀꼬리 형 음색(tone)이 절대 다수라는 점이다. 두 번째 특징으로는 아성(兒聲) 위주의 발음을 꼽을 수 있었으며, 세 번째로 자연스러운 프레이즈(phrase) 표현을 들었다. 네 번째 특징은 다양한 바이브레이션(vibration)의 구사였으며, 마지막으로는 연음(連音) 시 비교적 깊은 벤딩(bending)을 구사한다는 것이다.

Establishing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female singers’ vocal styles, I strove to diverge from the bounds of existing western singing researches centering around breathing methods, vocalization methods and resonance methods, because vocal styles will be changed by their nuance and emotional expression to reach the essence of pop songs being a music and poem. Beyond the common logic that emotional expression is apart from singing skills, I endeavored to explain singing of female singers by applying five singing skills -tone, pronunciation, phrase, vibration, bending. In this paper, I analyzed vocal styles by 14 female singers who were in the public’s good graces, and drew fiv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clear and fine nightingale voice tone wins an absolute majority. Second, they are characterized as pronunciation mainly with childlike voice. Third feature is natural expression of phrases, and fourthly a good command of various vibrations. Finally, they are marked by relatively deep bending with a prolonged sound.

1. 머리말

2. 가창법의 기초 이론 및 기준 설정

2.1. 호흡법과 발성법, 공명법

2.2. 대중가요 가수의 가창법 요소

3. 일제강점기 여가수들의 가창법 분석

3.1. 가수별 가창의 특징

3.2. 가수별 가창법 경향 분류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