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현재의 한국 대중음악 시장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걸그룹’과, 이들을 열성적으로 좋아하는 30~40대 ‘삼촌팬’들을 해석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삼촌팬은 최근 걸그룹의 가장 강력한 팬 집단으로 주목받으며 활발한 팬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어린 소녀들에게 가진 성적 욕망을 숨기고, ‘삼촌’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하는 존재로 묘사되기도 한다. 삼촌팬 세대는 어린 시절부터 TV와 라디오, 가요와 팝음악 등 대중문화를 풍성하게 경험했다. 이에 따라 삼촌팬은 아이돌 그룹 위주로 재편된 대중음악 시장에서도 걸그룹을 왕성하게 소비하며, 적극적인 팬으로 나설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삼촌팬이 소녀들의 성적 이미지를 소비하고 있다는 부정적 시선 또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 글은 삼촌팬의 존재를 더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대중문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새로운 팬 문화를 생산하고자 하는 집단으로 삼촌팬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이 글은 연구자 개인의 기억과 경험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는 ‘자기민속지학’ 방법을 시도했다. 이에 따라 이 글은 연구자 개인의 경험과 삼촌팬에 관한 논의를 함께 소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This study purposes on analysing ‘Teenage Girl group singers,’ who symbolistically represent Korean Pop market, and ‘Uncle fans,’ in age of 30 through 40 years who craze for those girl group singers. These Uncle fans are recently showing energetic fan activities attracting public attention as strong fan groups. But these fans are also described as beings who hides their sexual desire for young teenage girls in the name of ‘Uncles.’ Uncle fans generations experienced various mass cultures from young age such as Korean pop music or Pop music, through TVs and Radios. Uncle fans seems to act as enthusiastic fans by drawing their experiences to mass cultures, also massively consuming in Korean pop market which has been restructured as mostly in teenage girl groups. There are some concerns about these Uncle fans, proposing that they are consuming sexual images of young teenage girls. But this study pro-poses that in order to precisely define these ‘Uncle fans,’ they should be seen as groups who try to create new fan culture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adapted ‘autoethnographic method,’ which brings research mainly by individual memories and experiences. At this point, this study was composed by introducing researcher’s own experiences and discussions for Uncle fans.
1. 들어가며
2. ‘내 이야기’ 하기: 자기민속지학에 관한 논의
3. 나의 경험: 대중음악, 아이돌, 그리고 걸그룹
4. 지금의 이야기: 걸그룹과 삼촌팬
4.1. 삼촌팬이 걸그룹을 만날 때
4.2. 삼촌팬에 대한 비판과 변명
5. 나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