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1976~1979년 사이에 큰 인기를 끌었던 이른바 ‘트로트 고고’를 다루어보고자 기획되었다. 대중가요사에서는 이 시기 트로트 고고의 유행을 대마초 파동 이후 급조된 현상으로 파악하여 지극히 평가절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 근거로, 음악적으로 볼 때 정통 록에서는 한참 멀고 그렇다고 정통 트로트의 범주에 넣기에도 애매할 뿐만 아니라, 노랫말은 이전 시대의 포크뮤직에 비해 아무런 메시지도 없이 상투적이기만 한 점이 지적된다. 이렇다 할 대형가수도 없고 포크의 시대와 조용필의 시대 사이를 잠시 메웠던, 음악사적인 ‘낀 세대’라는 탓도 크다. 그러나 필자는 이 시기의 트로트 고고 열풍이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트로트의 외연적 확장(예를 들어 트로트와 발라드의 결합 또는 트로트와 댄스뮤직의 결합 같은) 면에서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고, 청년세대와 기성세대라는 세대 간의 격차를 허물고 통합된 팬층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대중음악사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글은 이와 같은 의의를 증명하기 위해, 트로트 고고 음악을 담당했던 가수와 그 노래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은 물론, 당시의 사회적 상황과 대중음악 내부의 변화, 대중의 기호 등을 가능한 한 상세하게 탐색했다.
This is to analyze the popularity of so-called ‘Trot-Go-go’ songs in 1976~1979, which has achieved the main stream in Korean pop music at that time. ‘Trot-Go-go’ began with rock band, but they sang the songs similar to trot music. Their songs were composed from the trot music, but sung like the rock music. so they were combination of rock music and trot music. Their lyric were usually conventional, most of them were cliche. The intellects criticized them severely. ‘Trot-Go-go’ songs were analyzed as a monster of the times, a trash. I would point out that ‘Trot-Go-go’ songs in 1976~1979 were made from the political situation. In 1975, President Park s government prohibited the folk songs that were the main stream among the 10s~20s because the composers and the singers habitually smoked marijuana, and also forbid the trot songs that were popular to the adults because they were too decadent. ‘Trot-Go-go’ songs were born after the folk songs and the trot songs were prohibited. Under this condition, the lyric of ‘Trot-Go-go’ songs had to be conventional to avoid the prohibition. However, I’d like to point out that ‘Trot-Go-go’ songs in 1976~1979 integrated the fans from the 10s to the adults, this kind of phenomenon had never been made after that time. Also I think that ‘Trot-Go-go’ songs in 1976~1979 were the beginning of the trot music’s territorial expansion like trot and ballard, trot and dance music. The estimation of ‘Trot-Go-go’ songs in 1976~1979 has to be changed.
1. 들어가는 말
2. 1970년대 말의 상황과 트로트 고고의 등장
2.1. 대마초 파동의 충격
2.2. 정통 트로트의 퇴조와 <돌아와요 부산항에>의 히트
2.3. 록 밴드의 활약
2.4. 두각을 나타낸 트로트 고고 가수들
3. 트로트 고고의 특성
3.1. 록과 트로트의 음악적 결합
3.2. 노랫말의 상투성과 그 의미
3.3. 청년세대와 기성세대의 결집, 폭넓은 호응
4. 트로트 고고를 어떻게 볼 것인가, 음악적 평가의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