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932.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급 한식 레스토랑 종사원의 조직공정성인식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uxury Korean Food Restaurant Worker’s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to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DOI : 10.26433/TFCK.2019.14.3.01
  • 150

본 연구의 목적은 고급 한식 레스토랑 종사원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공정과 이에 따른 조직효과성의 영향과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소재의 고급 한식 레스토랑에 근무 중인 종사원 250명을 대상으로 조직공정성인식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과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공정성인식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분배공정성과 직무만족의 영향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이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분배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과 조직몰입의 영향 관계에서 조직지원 인식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공정성 인식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 번 확인하였으며, 공정성에 대한 경영진들의 인식 변화와 노력이 더해진다면 종사원들의 직장에 대한 만족과 몰입을 향상시켜 경영 성과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of luxury Korean food restaurant worker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also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t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argeting 250 employees of upscale Korean food restaurant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distributive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while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verified the importance of perceived justice. If the managers effort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justice are added, the business performance could be enhanced by improving employees commitment and satisfaction with workplac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