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규모 외식기업의 VMD(Visual Merchandising) 전략이 호기심 유발과 긍정적 인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VMD(Visual Merchandising) Strategies of Mini Foodservice Companies on Curiosity Inducing and Positive Impression
- 한국식공간학회
- 식공간융합연구
- 식공간연구 14권 3호
- : KCI등재후보
- 2019.12
- 45 - 66 (22 pages)
본 연구는 최근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소규모 외식기업의 식공간을 구성하는 VMD 전략이 호기심 유발과 긍정적 인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PLS-SEM 중 하나인 ADANCO를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소규모 외식기업의 VMD 전략은 호기심 유발을 매개변수로 하여 긍정적 인상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VMD 전략의 하위요인 별 검증 결과로는 감각성과 독창성은 호기심 유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성, 독창성, 심미성은 긍정적 인상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기심 유발은 긍정적 인상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VMD 전략의 하위 요인 중 감각성과 독창성은 약한 매개효과를, 심미성과 실용성은 잠재적 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규모 외식기업이 자본과 규모의 영세성을 극복하고 차별화를 통한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적용하고 있는 VMD 전략은 감각적이고 독창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고 개성을 강조한다면 소비자들에게 흥미와 관심 등의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을 것이다. 유발된 호기심은 소비자에게 강렬하고 긍정적인 인상을 심어주어 기업 이미지 구축은 물론 방문의지와 방문행동은 물론 재방문의지와 긍정적 구전까지 유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VMD strategies of mini foodservice companies attracting attention from consumers recently on inducing curiosity and positive impression using ADANCO, one of the PLS-SEM. In the study, the VMD strategies of mini foodservice companie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positive impression with the induction of curiosity as a parameter. As a result of the sub-factor validation of the VMD strategy, sensitivity and creativity showed some positive(+) effects on curiosity induction. Sensitivity, creativity, and aesthetic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impression. Curiosity inducing ha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impression, too. And also, among the sub-factors of the VMD strategy, sensitivity and creativity showed weak mediating effects, and aesthetics and practicality showed potential mediating effects. The VMD strategy, which was applied to overcome limitations from the small size of mini foodservice companies, and to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differentiation, may emphasize individuality with emphasis on sensual and creative aspects, which would possibly attract consumers into curiosity and interest. The induced curiosity could give a strong and positive impression to the consumers, which would lead to build a strong corporate image, intention and acts to visit and even revisit and positive viral marketing.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