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복지사의 직무번영감: 생존(surviving)을 넘어선 번영(thriving)
Social Workers’ Thriving at Work: Thriving beyond Surviving
- 최권호(Kwonho Choi)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63권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12
- 93 - 127 (35 pages)
본 연구는 기존에 충분한 논의가 부족했던 사회복지사 직무수행의 긍정적 경험으로서 직무번영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주제에 적합하다고 판단한 전국 사회복지사 30명을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근거이론에 기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번영감으로서 유능해진다고 느낌, 일과의 합일을 경험 등의 2가지 개념을 도출하였다. 직무번영감의 엔진에 해당하는 주도적 직무수행경험으로는 일에 대한 몰입감, 탐험과 탐색, 관계의 확장 등의 3가지 개념을 도출하였다. 주도적 직무수행경험은 개인의 자원과 조직의 자원이 전제될 때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긍정적 직무수행 경험인 직무번영감의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사회복지사가 노동현장에서 생존하는 것을 넘어 직무번영감을 경험할 수 있는 맥락을 제시함으로써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 se of this s tudy i s to explore t hriving at w ork of so cial wo rkers as a p o sitive experience in job. Thirty social workers who were suitable for the study purpose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gentic work behavior, which is regarded as engine of thriving at work, is consisted with three concepts: task focus, exploration, and heedful relating. Agentic work behavior was found to occur when social workers’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resources are satisfied. Based on this results, the theoretical model of social workers’ thriving at work was suggested. Also, the implications are suggested by the mechanism of thriving at work in social work field.
국문요약
I. 서론
II. 선행연구 검토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