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측무시 뇌졸중 환자의 KF-NAP와 인지 기능 및 일상생활활동 상관관계
Correlation of Cognitive Functions and Daily Activities With KF-NAP of Stroke With Neglect
-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 제11권 제2호
- : KCI등재
- 2019.12
- 1 - 9 (9 pages)
목적: 편측 무시 환자를 대상으로 캐슬러 파운데이션 무시 평가를 통해 무시의 정도에 따른 인지 기능과 일상생활 수행 수준에 대한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인천에 소재하는 H병원과 고양시에 소재하는 Y병원에 오른쪽 뇌반구 손상으로 입원중인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 선정은 의식 수준이 명료하며 두 단계 이상의 지시 수행이 가능한 자, 직선이분검사에서 경한 손상 이상의 점수를 받은 자, 본 연구를 이해하며 자발적으로 참여한 자로 설정하였으며, KF-NAP, LOTCA-G, MBI, MMSE-K 평가를 실시하여 항목별 Spearman의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결과: KF-NAP 총점과 LOTCA-G간 분석결과 시공간 지각과 집중력(p<.05), 시운동 조직화(p<.01)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KF-NAP 총점과 K-MBI간 분석결과 개인위생과 옷 입기(p<.05), 대변 조절, 소변 조절, 총점(p<.01)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KF-NAP 무시 심각도와 LOTCA-G간 분석결과 시운동 조직화, 집중력(p<.05)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KF-NAP 무시 심각도와 K-MBI간 분석결과 옷 입기, 대변조절, 소변조절, 휠체어(p<.05)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KF-NAP 평가에 의한 편측무시는 인지 기능 중에 시공간 지각, 시운동 조직화, 집중력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편측무시 환자는 이러한 인지 기능과 관련하여 일상생활 수행 중에 대칭적, 공간적 활동이 필요한 옷 입기, 소변/대변 조절, 개인위생 등에서 상관관계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performance level according to the degree of neglect through KA-NAP for patients with Neglect.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8 patients with stroke in the right hemisphere The subjects were tested for KF-NAP, LOTCA-G, MBI, and MMSE-K. The correlation analysis of Spearman by item was performed with the measured values. The analysis results between the KF-NAP total score and LOTCA-G showed a correlation in the spatial perception, attention (p<.05), and visuomotor organization (p<.01). Analysis between KF-NAP total score and K-MBI showed a correlation in personal hygiene and dressing (p<.05), bowel/bladder control, and total score of K-MBI (p<.01). The analysis results between the neglect severity of KF-NAP and LOTCA-G showed a correlation in the visuomotor organization and attention (p<.05). Analysis between neglect severity of KF-NAP and K-MBI showed correlation in dressing, bowel/bladder control, and wheelchair (p<.05). Neglect by KF-NAP evaluation was correlated with spatial perception, visuomotor organization, and attention among cognitive functions. In relation to these cognitive functions, neglect patients showed correlations in dressing, bowel/bladder control, and personal hygiene, which required symmetrical and spatial activities during the daily performance.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및 결론
Ⅴ. 요 약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