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뇌졸중 환자의 주관적 신체이미지가 기능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ody Image on Functional Ability With Stroke Patients

  • 137
149946.jpg

목적: 뇌졸중 환자의 신체인식을 통한 자신의 신체 이미지 정도가 균형 능력 및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대상자 선정기준에 해당되는 뇌졸중 환자 59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신체인식을 신체 이미지의 정도로 평가하기 위해 관절 자세 이미지와 압력 이미지로 나누어서 평가하였다. 균형 능력의 평가로는 버그 균형 검사(Berg Balance Test)를 실시하였으며, 상지 기능에 대한 평가로는 상지 기능 검사(Manual Function Test)를 실시하였다. 신체 이미지와 기능적 능력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과 신체 이미지가 기능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결과: 뇌졸중 환자의 신체인식을 통한 신체 이미지는 관절자세 이미지 중에서 하지 관절 자세의 정도가 균형 능력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고, 상지와 하지 관절 자세의 정도는 상지 및 하지 기능과 모두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p<.05). 압력 이미지에서는 상지와 하지의 이미지 정도가 균형 능력과 모두 상관성이 있었고(p<.05), 상지 기능은 등, 엉덩이, 발목에서의 압력과 상관성이 있었다(p<.05). 발목 관절에서의 자세 이미지는 균형 능력에 영향을 주고, 등에서의 압력이미지는 상지 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신체인식을 통한 신체이미지 정도가 균형 및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뇌졸중 환자의 신체 인식에 대한 재활 치료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The effect of body image on the ability of balance and upper limb function through the body recognition of stroke patients was investigated. Fifty-nine patients with strokes were sele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body recognition of the subjects, the subjects were evaluated by dividing the joint posture image and the pressure image. A Berg balance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balance ability, and a manual function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body image on functional abilit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0.05. The body image through the body recognition of stroke patien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balance ability of the lower extremity joint position among the joint position images, and the degree of upper and lower limb joint posi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upper and lower limb function (p<.05). In pressure images, upper and lower limb images were correlated with balance ability (p<.05), and upper limb function was correlated with pressure in the back, hip, and ankle (p<.05). Postural images in the ankle joint affected balance ability and pressure images in the back affected upper limb function (p<.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dy image on the balanc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of stroke patient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및 결론

Ⅴ. 요 약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