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인지재활치료가 편마비 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on Hand Function in Hemiplegic Patient after Stroke
-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 제11권 제2호
-
2019.1231 - 39 (9 pages)
-
DOI : 10.29144/KSCTE.2019.11.2.31
- 531

목적: 본 연구는 손 기능이 손상된 급성기 편마비환자에게 신경인지재활치료를 적용하여 손 기능과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대상자는 고양시 Y재활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받고 있는 환자로 뇌졸중 진단을 받았으며, 실험의 내용을 이해하고 참여 의사를 밝힌 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49세 여성으로 2019년 2월 24일 발병되어 우측 뇌기저핵 부위의 뇌내출혈로 인한 좌측 편마비를 진단받았다. 연구 기간은 2019년 3월 18일부터 5월 1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8주 동안 주 5회 30분씩 총 40회기의 신경인지재활치료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뇌졸중 상지 기능 검사에서 치료 전 오른쪽 32점, 왼쪽 23점, 치료 후 오른쪽 32점, 왼쪽 29점으로 왼쪽상지의 기능변화가 나타났다. 그루브드 막대 검사 결과 치료 전 오른손 57초(수행 개수 25개, 떨어진 개수 0개)에서 치료 후 62초(수행 개수 25개, 떨어진 개수 0개)였으며, 왼손은 323초(수행 개수 25개, 떨어진 개수 2개)에서 126초(수행 개수 25개, 떨어진 개수 0개)로 왼손의 시간 단축과 수행도의 증가가 나타났다.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에서는 오른손 80개에서 81개, 왼손 25개에서 48개로 오른손 1개, 왼손 23개로 향상되었다. 결론: 신경인지재활치료가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 및 과제수행의 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hand function for hemiplegic patient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female patient aged 49 with left hemiplegia caused by intracranial hemorrhage, and the cognitive-therapeutic exercise was applied to her for 30minutes once a day from March 18, 2018 to May 10, 2019. In this study, after neurocognitive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MFT found no change found in the right hand. The left hand improved from 23 to 29 scores. The results of the grooved pegboard test, which evaluated the hand function, were as follows. The right hand performed from 57 seconds (25 performed, 0 dropped) to 62 seconds (25 performed, 0 dropped) after treatment, and the left hand improved from 323 seconds (25 performed, dropped 2) to 126 seconds (25 performed, dropped 0) after the treatment. The results BBT, the right hand performed from 81 to 80, The left hand improved from 25 to 48.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on hand function and task performance in acute stroke patient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및 결론
Ⅴ. 요 약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