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992.jpg
KCI등재 학술저널

모빌리티를 통해 본 이주자 밀집지역의 역동성 탐구

대림동 중국국적 이주자 밀집지역을 사례로

  • 246

이 연구는 대림동이라는 국내 최대 이주자의 밀집 지역의 형성과 변화를 모빌리티 생산 장소라는 개념으로 재해석을 시도한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모빌리티는 정주와 정착과 대치되어 비장소를 만드는 것으로 인식되곤 하지만 본 연구는 모빌리티가 이동을 통해 새로운 연결과 흐름을 창조하여 장소를 형성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이에 따르면 이주자 밀집 지역은 이주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이주자를 유입시키는 모빌리티를 만들어내고 동시에 유출이라는 새로운 모빌리티를 만들어내는 곳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사례지역인 대림동은 중국으로부터 이주해 온 사람들의 유입과 정착을 통해 모빌리티를 생산한다. 이들의 대림동 배태로 인해 대림동은 이주자들에게 편리한 곳이 되어 더 많은 이주자를 유입시키지만 동시에 이러한 요소들은 대림동의 유출 요인이 되어 대림동으로 빠져나가게 하는 모빌리티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그 결과 대림동은 중국국적 이주자의 누적과 집중으로 인해 나타나는 정적인 곳이 아니라 유입과 유출, 그리고 그 사이의 배태를 통해 끊임없는 변화를 겪는 역동적인 모빌리티 생산 장소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reinterpret the formation and change of Daerimgdong, the largest ethnic enclave in Seoul, Korea through mobility. Mobility is generally perceived as creating a non-place as the opposite of settlement, but this study suggests that mobility is producing a place by creating a new connection and flow through movements. According to this, the ethnic enclave can be understood as a place which produces mobilities of immigrants by attracting and repelling them. Daerimdong also produces mobilities through the influx and settlement of Chinese immigrants. Their local embeddedness and activities make Daerimdong more convenient and comfortable place for immigrants, and in turn, attract more immigrants. However, at the same time, these factors also work as the outflow factors, which produces mobility to exit from Daerimdong. As a result, Daerimdong should be understood as a dynamic mobility producing a place that undergoes constant changes through inflows, local embeddedness, and outflows, not as a static space.

1. 들어가면서

2. 모빌리티 생산 장소와 이주자 밀집지역

3. 중국국적 이주자의 국내 최대 밀집지역: 대림동

4. 대림동 상권의 발달: 이주자의 유입 요인에서 유출 요인이 되기까지

5. 대림동 중국국적 이주자의 밀집지역의 모빌리티 생산

6. 나가면서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