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9983.jpg
KCI등재 학술저널

1930년대 후반 시단과 이상(李箱)

A Study on the Lee Sang(李箱) of Poetical Circles in the late-1930’s -Focusing on the Poetry Magazine

  • 149

본고에서는 1930년대 후반 시 전문지에 나타난 이상(李箱)과 신세대 시인의 연관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1936년 11월을 기점으로 많은 양의 시 전문지가 발행된다. 그 중 『시인부락』은 신세대 시인의 집결 장으로 평가받는데, 『시인부락』일원들은 이상과의 만남을 통해 동류의식을 형성한다. 이 글은 이 점에서 『시인부락』 일원들이 참여한 『자오선』에 이성범의 「이상애도」와 이상의 유고 「파첩」이 게재됨으로써 1930년대 후반 시단과 이상의 접점이 지속적으로 드러나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이상의 「파첩」에 등장한 카인은 신세대 시인인 오장환과 서정주의 작품에도 등장함으로써, 카인을 접점으로 세대의 교차가 발견되는 것을 구명하고자 했다. 이상의 「파첩」에 등장한 카인이 시대의 반항아로 그려졌다면, 오장환과 서정주의 카인은 현대를 살아가는 방랑자이자, 생명력의 재생과 고양을 보여주는 대상으로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시인부락』, 『자오선』. 『맥』으로 이루어지는 시 전문지의 흐름 속에서 이상은 신세대 시인들과 동세대 시인으로 자리한다. 그들에게 이상은 가치 있는 타자로서 자리할 뿐 아니라 새로움의 추구에 위치한다. 그들에게 이상의 시는 지성으로 포착되지 않은 생명을 강조할 뿐 아니라 보이지 않는 영역을 그려냄으로써 새로움을 창출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이상의 시사적 위치를 신세대 시인들과 접점에서 조명함으로써 1930년대 후반 시단의 역동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e Sang and the new generation of poets, which appeared in the poem magazine in the late1930s. Starting in November 1936, a large number of poetry magazines are published. Among them, 『Siinburak』 is regarded as the gathering place of the new generation of poets, and the members of the 『Siinburak』 form the same consciousness through the contact with Lee Sang .In this regard, this article examined whether Lee Sung-bum’s 『LeeSangaedo』 and 「Pa-Cheop(破帖)」 in the 『Jaosun』, where members of the 『Siinburak』, participated, revealed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Lee Sang. In particular, Cain, who appeared in the 「Pa-Cheop(破帖)」, appeared in the works of the new generation poets Oh Jang-hwan and Seo Jeong-ju and tried to clarify the intersection of generations by using Cain as a contact point .If Cain appeared in the 「Pa-Cheop(破帖)」 is depicted as a rebellious child of the times, Oh Jang-hwan and Seo Jeong-ju’s Cain are the wanderers living in modern times and the objects showing the renewal and uplift of vitality. In this process,『Siinburak』, 『Jaosun』 In the flow of poetry magazines consisting of 『Mack』, Lee Sang is positioned as a new generation poet and a same generation poet. It can be seen that Lee Sang not only emphasizes life not captured by intelligence but also creates newness by drawing invisible realms. In addition, the poetic position of the poetical circles in the late 1930s could be recognized by illuminating the current position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new generation of poets.

1. 1930년대 후반 시 전문지의 출현과 세대론의 단초

2. 이상과 신세대 시인의 동류의식

3. 이상의 「파첩」과 ‘카인’의 발견

4. 오장환과 서정주의 작품에 나타난 카인 모티프

5. 이상(李箱)과 신세대 시인들의 접점과 분기(分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