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가 주목하는 21세기 읽기역량 계발을 위하여 과제 기반 다문서 읽기활동에서 학습독자의 읽기 목적이 지닌 위상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탐색하고,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독서 단원을 대상으로 지도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의미구성 관점 기반 단문서 읽기활동과 비교할 때 문제해결탐구 기반 다문서 읽기활동에서는 학습독자의 읽기 목적에 따라 학습독자의 배경지식 활용과 다문서 선별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교과서나 교사에 의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습독자가 능동적으로 다문서 읽기 목적을 수립하는 능력이 요구되므로, 읽기 전 활동 단계에서 읽기과제의 텍스트 관련성 분석을 통하여 읽기 목적을 수립하거나, 학습독자가 생성한 질문을 기반으로 읽기 목적을 수립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이런 맥락에서 학습독자에게 책 선택권과 자율권을 제공하고 학생질문생성을 구현하며 국어과목과 다른 과목과의 통합 운영을 권고하고 있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독서 단원을 대상으로, 학습독자의 읽기 목적 수립 지도가 가능한 사례를 추출하여 읽기과제의 관련성 분석이나 학습독자의 질문생성을 통한 읽기 목적 수립 지도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learning readers’s reading goal teaching and multiple documents reading for problem solving inquiry task, because modern society emphasizes reading competencies as a problem-solving inquiry ability. In comparison with constructive perspective, intensive reading, and single text reading instruction, recent reading perspective focus on extensive reading in social context and multiple documents reading for problem solving inquiry. In multiple documents reading situation, learning readers should analyze reading context, then set a purpose for reading, and read selectively according to awareness of text relevance and self questioning for reading multiple documents. In this context,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reading units in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specialized for intensive and extensive reading activities. They provide readers with choice and autonomy, implement students self questioning, and recommend integrated management of Korean language courses with other subjects. So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elementary reading uni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riteria of multiple documents’ reading, reading context, text relevance instruction, creative expressi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current reading units need to be improved in next textbook developments. Nevertheless, there is a possibility of complement in current reading unit how it work, then this paper proposes reconstruction lesson plans across korean language textbook’s content area reading units and other subject matters.
Ⅱ. 읽기 목적과 과제기반 다문서 읽기의 관계
Ⅲ. 읽기 목적과 텍스트 관련성의 관계
Ⅳ. 읽기 목적과 학습독자 질문생성의 관계
Ⅴ. 읽기 목적 기반 다문서 읽기 지도 모색
Ⅵ.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