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난기구 사용시간 실험분석을 통한 안전체험교육 개선방안
Plans to Improve Safety Experience Education through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Evacuation Equipment
- 한국화재소방학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Vol.33 No.6
-
2019.1235 - 42 (8 pages)
- 이용수 56

초록
본 논문은 피난기구의 사용시간 실험분석을 통한 안전체험교육 개선에 관한 방향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피 실험자들을 체격과 체중이 비슷한 그룹으로 나누어 구성하였고, 4가지 피난기구를 직접 체험하게 함으로서 체험시간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피난기구 설치에서부터 탈출까지의 전체시간 분석에서 완강기-경사식구조대-수직구조대-공기안전매트 순으로 탈출시간이 소요되었다. 피난기구의 탈출시간만 분석했을 경우에는 공기안전매트-경사식구조대-완강기-수직구조대 순으로 탈출시간이 분석되었다. 완강기의 1차 2차 실험에서 나타난 것처럼 1차 시간은 경험 후에 2차 시도에서 시간이 줄어들었다. 이처럼 체험을 통한 교육은 행동의 자신감 증가와 시간의 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안전교육의 목표는 인명과 재산피해의 최소화이고, 이를 위한 노력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교육을 통해 최소화 하는 방법과 자신의 안전을 지키는 교육을 진행한다. 그러므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이러한 효과를 가져 오기 위해서는 체험교육을 통해 학습효과를 높이고, 자기안전을 지키게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safety experience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vacuation time experiment. For the study, test subjects were divided into groups of similar body size and weight. The test subjects were directly experienced four evacuation devices, and the experience time was measu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otal time from the installation of the evacuation device to the escape, the time was measured in the order of Descending Life Line-Tilt-Down Rescue Line-Vertical Escape Chute-air safety mat. In the case of evaluating the evacuation time using evacuation mechanisms, the evacuation time was measured in the order of air safety mat- Tilt-Tilt-Down Rescue Line-Descending Life Line-Vertical Escape Chute. In the first and second experiments of the Descending Life Line, time differences were observed. The escape time using the Descending Life Line was reduced in the second experiment than in the first experiment. As shown in this result, education through experience has shown that behavioral confidence and time can be manag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goal of safety education is to minimize human life and property damage. Therefore, in order to bring this effect to more people,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keep self-safe through experiential education.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 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25)
- 결정론적 화재방호요건을 기반으로 한 원자력발전소 화재모델링 현장실사 수행절차 개발
- 휘도비 측정을 통한 유도등의 경년변화 연구
- Delphi/AHP를 활용한 다중이용업 신종업종의 화재위험평가지표 분석
- 소방시설관리업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 화원면적 변화에 따른 격자 크기 의존도 및 예측결과 분석
- 화재의 실화배상책임액 산정을 위한 프레임워크 수립에 관한 연구
- 로지스틱회귀분석 모델을 활용한 화학사고 사상사고 예측모형 개발 연구
- 가속열화에 따른 비안전등급 케이블의 독성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초음파를 이용한 비상방송시스템에 관한 연구
- 실물 연소 실험이 진행된 비닐장판의 연소거동 및 탄화 패턴 해석에 관한 연구
- 산림치유프로그램이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기분상태 변화에 미치는 효과
- 화재 및 호흡조건 변화에 따른 연기입자의 인체 호흡기 내 영역별 침착량 분석
- 양자전이 비행시간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화학사고 원인물질 분석
- 피난기구 사용시간 실험분석을 통한 안전체험교육 개선방안
- 한국의료패널을 이용한 구급 이송 서비스 이용 특성 분석
- SCBA 면체용 다자간 동시 양방향 팀 통신모듈 개발
- CONTAM을 이용한 직렬형태 구조의 제연성능 구현에 관한 연구
- 화재시 열방출 급상승 구간의 수치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로지스틱 함수 및 역함수 곡선)
- 물 분무 액적 특성이 화재진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
- 공동주택 화재를 대상으로 한 가상현실(VR) 프로그램 개발 및 호응도 조사
- 자연적 구분법을 이용한 건축물 용도별 화재위험도 평가
- 대형 유류저장탱크 전면화재 대응을 위한 대용량포방사시스템 연구
- 과열에 의해 발화된 동물성 식품의 화염 및 탄화 패턴에 관한 연구
- 유도등 설치유형 및 피난구 출입문 개폐방향에 따른 재실자의 피난경로 선택패턴분석
- 금속 마이그레이션에 의한 화재 위험성 연구
추천 논문
-
권경숙(Kwon Kyung Sook), 박지영(Park Ji 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14권 제4호 2010.12
-
정건희, 정덕훈, 최대순, 윤준영, 이승준, Chung Gunhui, Jung Duk Hoon, Choi Dae Soon, Yun Jun Young, Lee Seong Joon 한국방재학회 3.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4년 2014.02
-
권윤지(Yoon ji Kwon), 김희진(Hee jin Kim), 이연선(Youn su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2호 2017.02
-
이지혜(Lee Ji-Hye), 홍숙희(Hong Sook-Hee) 한국평생교육학회 평생교육학연구 평생교육학연구 제13권 제3호 2007.09
-
남윤희(Nam Yun-Heui) K교육연구학회 사회과학리뷰 제5권 제2호 2020.08
최근이용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