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062.jpg
KCI등재 학술저널

노상추 일가의 의례 활동과 친족 관계

The Ritual Activities and Relations of Noh Sang-Chu s Family

  • 292

본고는 노상추 일가의 일상과 의례의 수행을 통해서 가족과 친족에 대해 검토하였다. 우선 거주 방식의 경우, 노상추의 가족은 부모와 자녀로 구성되었다. 다만 경제적 기반은 부모가 사망하고, 상속이 이루어진 이후에 독자성을 확보하였다. 다음으로 의례를 시행하는 방식의 경우, 제사에 참여하는 범위는 같은 曾祖의 자손으로 6촌을 넘어서지 않았다. 이 범위가 하나의 집안이었다. 그것을 넘어서는 범위는 친족조직을 구성하여 절기의 차례, 분묘 관리 등을 수행하였다. 친족 조직은 동성 친족 사이에 존재하며, 이들은 의례 활동을 통해서 관계를 유지하였다. 이 시기 이성 친족의 관계는 외가의 역할이 주목된다. 노상추는 주기적으로 외조모를 찾아뵙고, 외가 친족들의 상례와 제사에 참여하였으며, 경우에 따라 외가의 기반에서 생활하였다. 또 상속에서 딸의 몫은 분명하게 있었다. 노상추의 고모부와 고종사촌이 장모와 외조모의 제사에 성실하게 참여하는 것도 외가의 역할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외가의 역할은 여전히 분명한 영역이 있었다. 이것을 넘어서는 범위에서 이성 친족은 친교 목적에서 관계를 유지하였고, 교유의 빈도가 매우 높았다. 오히려 의례를 통해 대면하는 동성 친족과 비교하면 강제 요소가 없음에도 지속성과 친밀함이 높았다. 이렇게 볼 때, 19세기 경상도 사족들은 각종 의례의 시행에서 행위의 절차는 『주자가례』의 항목을 비교적 충실하게 수행하였지만 가족과 친족의 관계가 작동하는 지점에서는 『주자가례』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였다. 同高祖 8촌을 범위로 하는 집안[家]에서 宗子가 의례와 家産을 장악하는 『주자가례』의 가족 질서는 조선에서는 6촌의 범위에서 작동하였고, 재산은 부모와 자녀 및 손자녀의 범위를 넘어서 상속되지 않았다. 의례와 재산을 宗子가 독점해서 운영하는 『주자가례』의 가족 운영 방식은 19세기 조선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들에게 『주자가례』는 잘 정돈된 의례의 절차를 제공하는 참고도서로 기능하였고, 자신들이 인식하는 가족과 친족의 범위에서 주체적으로 변용하여 시행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appearance of families and relatives through the daily life of Noh Sang-chu(盧尙樞) and the performance of rituals in his family. As for the mode of residence, a family was comprised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who grew independent from their parents and made their own dwelling. The study then examined the relatives through the methods of holding rituals. The role of the mother s side was highlighted in the relationship of relatives from different family names during those days. Noh Sang-chu made a regular visit to his maternal grandmother and took part in the funeral and ancestral rites of his relatives on his mother s side.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noble families of Gyeongsang Province in the 19th century were relatively loyal to the items of Zhuxi s Family Rituals when performing the procedures in all kinds of rituals based on the book, which, however, did not perform its original role at points where family and relative relations came into play.

Ⅰ. 머리말

Ⅱ. 일상과 가족 관계

1. 선조의 기반 : 文洞

2. 자신의 기반 : 華林과 백운동

Ⅲ. 의례 활동과 친족 관계

1. ‘집안’의 의례 : 제사

2. 친족 조직의 의례 : 절제와 분묘의 관리

3. 호혜와 협동의 의례 : 혼례와 상례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