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056.jpg
KCI등재 학술저널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으로 경과 관찰한 용접광황반병증

Long-term Follow-up Results of Patients with Welding-arc Maculopathy Assessed Using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4

목적: 용접 작업 후 발생한 용접광황반병증 증례들의 경과 과정을 스펙트럼영역 빛간섭 단층촬영기기를 통해 관찰하고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보호장구의 착용 없이 용접작업을 시행한 후 발생한 시력저하를 주소로 4명(4안)의 환자가 내원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시력은 0.6이었고 안저검사상 망막중심오목에 황색의 반흔이 관찰되었으며,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빛수용체내외절경계부가 소실되었고 망막색소상피의 손상이 관찰되었다. 이에 용접광황반병증으로 진단하고 이 중 3명에게는 경구 스테로이드제제 또는 항산화제를 처방하였다. 이들 4명 중 용접광에 의한 피폭시간이 짧았던 2명은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빛수용체내외절 경계부의 손상이 회복되었고 피폭시간이 길었던 2명 중 1명은 부분적인 회복 소견을 보였지만, 다른 1명은 빛수용체내외절경계부 소실은 변화 없이 지속되었다. 결론: 용접작업을 시행한 4명의 환자에서 용접광황반병증을 진단하고 경구 스테로이드제제, 항산화제 병합 치료를 하며 스펙트럼영역빛간섭단층촬영으로 질환의 초기부터의 진행양상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Purpose: We present four cases of welding arc maculopathy as observed using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SD-OCT). Case summary: Four patients, who performed welding without wearing protective eye gear, presented to the hospital due to poor visual acuity. The mean visual acuity of the patients was 0.6. Fundus photographs of the four patients revealed a yellowish retinal scar at the fovea. SD-OCT images of the four patients showed photoreceptor inner segment/outer segment junction (IS/OS junction) disruption and retinal pigment epithelium injury. We diagnosed the patients with welding arc maculopathy, and three of them were treated with oral steroids or antioxidants. The IS/OS junctions were restored in two patients, who had short welding arc exposures. The disrupted IS/OS junction recovered partially in one of the other two patients, who had a longer duration of exposure, and the IS/OS junction disruption remained in another patient. Conclusions: We report four cases of welding arc maculopathy caused by welding light exposure evaluated using SD-OCT and treated with oral steroids and antioxidants.

증례보고

고 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