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155.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기 고구려의 기층문화 연구 ①: 소자하와 부이강 유역의 유적

A Study on the Traditional and Basic Culture of the Early Goguryeo ①

DOI : 10.52557/tpsh.2019.115.259
  • 378

초기 고구려의 기층문화를 검토하기 위한 선행조건의 일환으로 소자하와 부이강 유역의 청동기~초기 철기시대 중요 유적에 대하여 몇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집터 유적은 대부분 소자하와 부이강의 샛강 옆의 산기슭에 위치한다. 그 이유는 이곳의 지형조건이 높다란 산 사이의 계곡이므로 강 언저리에는 자연제방이 형성될 수 없는 지세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집터의 입지는 망화문화와 관련 있는 유적과 비슷한 양상이다. 왕의구 1호 집터에서는 찰흙으로 벽을 만들고 양쪽 벽 위에 판자돌을 덮은 외줄 고래와 아궁이가 조사되었다. 이러한 고래와 아궁이의 구조는 취사나 난방과 관련이 있는 시설로 초기 고구려의 주거 환경을 이해할 수 있는 한 자료이다. 그런데 이 시기의 화덕 시설은 출입문과 대칭되는 쪽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왕의구 1호 집터는 같은 방향에 있어 주목되며 이것은 유적 주변의 지형을 고려한 것이다. 토기는 홍갈색 토기와 니질의 회색 토기가 함께 찾아져 2시기에 걸쳐 문화층이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니질 계통은 연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소황구 유적에서는 다리 모양의 큰 손잡이가 찾아졌는데 만든 방법은 고구려 초기의 토기 제작과 비슷하여 문화의 연계성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철기는 쇠괭이, 쇠낫, 쇠삽 등 농기구가 대부분이고 가끔 화살촉과 낚시 바늘이 찾아졌다. 무덤으로는 고인돌과 돌널무덤이 조사되었는데 고인돌의 분포 관계를 보면 소자하유역에서는 탁자식과 개석식이 모두 조사되었지만 부이강에서는 개석식만 보고되었다. 이것은 고인돌의 전파 과정에 따른 시기 문제와 관련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부이강유역의 고인돌은 무덤의 구조와 껴묻거리를 볼 때 기원전 3세기쯤 축조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무덤의 구조에서는 하협심(탁자식)과 용두산(개석식) 고인돌의 돌무지시설이 특이하다. 그것은 기능적인 것보다 무덤의 형식 변화 과정과 관련이 있는 것 같다. 이것은 초기 고구려 돌무지무덤의 선행 묘제로 해석되며 환인 망강루 유적과 비교된다. 무덤에서 찾아진 껴묻거리를 보면 돌널무덤에서는 미송리형 토기와 마성자문화와 연관 있는 토기가 찾아졌다. 고인돌에서는 비교적 늦은 시기의 토기와 안테나식 청동손잡이 철검, 청동방울 등이 조사되었다.

In order to examine the traditional and basic culture of the early Goguryeo, this study analyzes the important sites from the Bronze to the early Iron Ages in Suzihe and Fuerjiang basins. Most of the housing site are located at the foot of the mountain by Suzihe and Fuerjiang. This is because the topography of this area is a valley between the mountains, so a natural embankment cannot be formed around the river. The location of this home site is related to the culture of Wanghua. In the site of Wangyigou No.1 house, a aunnel-shaped heating system and a furnace were examined. The structure of them is related to cooking and heating system and a source of understand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early Goguryeo.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housing site are largely divided into stoneware, pottery, ironware and other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reddish-brown pottery and the gray slit pottery were found together, the culture has been formed for two periods and slit-type pottery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Yan culture. The method of making handle of the pottery of Xiaohuanggou site is similar to that of pottery in the early Goguryeo. Ding(three-legged tripet cauldion) and Li(for boiling meat and careals) were excavated in the site of in Suzihe and Fuerjiang basins, which seems to be related to culture of Wanghua or Lianhuabao rather than to the culture of Bipa-type bronze dagger. Most of the iron is farm equipment such as iron hoes, iron sickles and iron shovels, and sometimes iron arrows and iron fish-hooks have been found. The tombs were examined with dolmens and stone cists. Dolmen shows a relatively diverse distribution from the plain of the river to the foot of the mountain. Both the table-type dolmen and the pit-type dolmen were investigated around the Suzihe basin, but only the pit-type dolmen was reported around the Fuerjiang basin. This fact is related to the spread of dolmens. The dolmens around the Suzihe basin may have been built around the third century BC, given the structure of the tomb and the funerary objects. In the structure of the dolmens, the stone mound facilities of Hejiaxin(table-type) and Longtoushan(pit-type) dolmen are unique. This seems to be more related to the process of changing the form of the tomb than to its function. This is interpreted as a predecessor of the stone mound type of tomb of the early Goguryeo, and is compared with the site of Huanren Wangjianglou. In the dolmen, cremation and multiple burial to reveal the funeral customs of the time were investigated. The funerary objects found in the tomb are Misongri-type potteries and the potteries associated with the culture of Machengzi. In dolmens, relatively late -stage potteries, antenna-type bronze-handled iron swords and bronze droplets were examined.

Ⅰ. 머리말

Ⅱ. 집터와 유물 산포지 관련 유적

Ⅲ. 집터 유적의 성격

Ⅳ. 무덤 유적

Ⅴ. 무덤의 성격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