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통한 공간의 다중성 연구
런던 포춘스트리트 공원과 킹스턴 마켓 광장 사례를 중심으로
- 김지현(Kim, Jihyun)
- 한국공간환경학회
- 공간과 사회
- 공간과 사회 70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12
- 157 - 194 (38 pages)
이 연구는 공공공간을 사회와 물체 간의 다양한 관계들을 통해 나타나는 유동적인 ‘상태’로 이해하며, 이를 바탕으로 공공공간의 다중적 성격에 대한 접근방법을 제안한다. 사회적 관계들이 공공공간에 어떻게 투영되며, 이들이 어떻게 다양한 인간 활동 ― 또는 장소(place) ― 을 지속적으로 담아내는가를 행위자-네트워크이론(Actor-Network Theory)을 통해 살펴본다. 연구를 위한 사례 대상지는 런던에 위치한 Fortune Street Park와 Kingston Ancient Market Place이며, 직접관찰, 인터뷰, 그리고 설문을 통한 이용자 행태 및 자료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는, 공공공간은 자신이 가지는 다양한 네트워크의 집합으로 개념화될 수 있으며, 각 공공공간들의 역할 수행을 관리 설계하는 데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이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음을 주장한다.
This research understands public space as ‘a fluid state’ emerged throughout the continual interactions between society and the built environment. Based on this, an empirical research method of Actor-Network Theory is suggested which examines how the physical/non-physical social actors are projected and produce multiple user activities constantly in public space. The case studies were conducted with two public spaces – Fortune Street Park and Kingston Ancient Market Place – in London where the data were gathered by observation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Based on the findings, this research argues that public space can be conceptualized as collective networks and that this actor-network approach is an effective tool in designing and decision-making process.
1. 서론
2. 문헌 연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도시공간
3. 물체를 통한 공간의 다중성
4. 연구 접근 방법
5. 다중성을 수용하는 공간의 전략
6. 공공공간의 방향성과 그 의미
7.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