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138.jpg
KCI등재 학술저널

북한도시연구방법론으로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에 관한 시론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 73

본 논문은 새로운 북한도시연구방법론으로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한다. 그동안 국내 북한연구의 발전이 어려운 원인 중 하나는 남북한이 군사적, 정치적으로 대치하고 있는 구조로 인하여 남한 사회에 사는 연구자로서 북한 관련 자료의 확보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북한학계는 문헌자료, 구술자료, 시각영상자료로 이어지는 방법론적 개선을 시도해왔다. 앞선 북한연구자들의 방법론적 고민을 적극 공감한 필자는 기존 방법론을 보완할 새로운 방법으로 SNS(특히, 이미지 공유 중심의 매체적 특성을 갖는 인스타그램)를 주목한다. 인스타그램에는 현재 북한의 도시공간을 담는 다양한 시각자료들이 풍부하게 존재하며, 앞으로 자료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에서 북한도시를 비롯한 북한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뤄질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국내 지리학계와 북한학계가 SNS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을 제언한다.

In this paper, I attempt to explore the fruitfulness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as a new research methodology for studying North Korean cities. Under continuing military and political tens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t has been very difficult for South Korean researchers to access to North Korean materials. Despite its constraints, they have attempted to improve research methodology by focusing on literature materials, interview materials, and visual images, etc. Acknowledging the problem orientation of predecessors, I try to consider the powerful function of Instagram as a mobile photo-sharing and video-sharing site. Through an empirical, but explorative study, I suggest that Instagram should be explored in a wider context in that it includes the multiple realities of the current North Korean cities.

1. 서론

2. 북한도시연구방법론의 발전과 한계

3. 인스타그램 이미지를 활용한 북한도시공간의 탐색: 평양을 중심으로

4. 결론 및 후속 연구과제

로딩중